earticle

논문검색

現代日本語の「打ち言葉」の定義と特徴 - 「Twitter」のクローリングによる「打ち言葉」の分析と共に -

원문정보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Japanese “typed language” : In Parallel with Analysis of “typed language” Through Crawling of “Twitter”

金曘泳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diachronic study on the “typed language” by crawling data on “Twitter”, a representative SNS that is commonly used by Japanese.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yped language” have been clarified through this consideration, a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rison method of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was applied in the definition of “typed language”. Therefore, the “typed language” was divided into “media” and “situation”, and the “typed language” was considered. As a result, this paper defined that “typed language” is a word that appears in text chat or text input on a digital medium connected to a network. Besides, “typed language” has been classified into “typed language of chatting” and “typed language of technology-dependent”. In more detail, the definition of the word “typed language” in a text conversation made over a network is valid, and the term “typed language of chatting” is defined. Meanwhile the act of “typing” is mainly used for text by electronic characters. Therefore, a new language that is different from “spoken language” as well as “written language” is born. In the background, there are unique circumstances in which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the notation (kanji, hiragana, katakana, roman characters, etc.) and original digital character input methods (such as keyboards of PCs and smartphones, Tenki of smartphones, etc.) are combined. In this paper, this term is defined as “typed language of technology-dependent”. The “typed language” originated from PC communication from the 1980s to the 1990s, and was widely used for “pagers” and “cell phone mail” in the 1990s. And now it appears a lot on social media. By the way, because “typed language” is a conversation through text, it lacks non- language communication means or paralanguage expression information. Therefore, alternative means such as emoticons (images and texts), emojis, and symbols were introduced. Among them, in the SNS of the messenger series such as “LINE”, the characteristic of “chat input word” is high. Also, in the SNS of writing type electronic bulletin boards such as “Twitter”, the characteristics of “typed language of chatting and “typed language of technology-dependent” are appearing simultaneously.

한국어

본고에서는 일본인이 애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SNS인 ‘트위터(Twitter)’를 ‘입력어(打ち言 葉,typed language)’를 키워드로 하여 데이터를 크롤링하는 것을 통해 ‘입력어’에 대한 통시 적인 고찰을 수행하여 ‘입력어’의 정의와 그 특징을 명확히 했다. 그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구어’와 ‘문어’의 비교 방식을 ‘입력어’의 정의에 도입하여 ‘매체(미디어)’와 ‘상황’이 라는 측면에서 ‘입력어’에 대한 고찰을 수행했다. 그 결과, 본고에서는 ‘입력어’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매체에서 문자입력에 의한 채팅이나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말이라고 정 의하고, 이어서 ‘입력어’를 ‘채팅 입력어’와 ‘기술의존 입력어’로 분류했다. 자세히 설명하자 면,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문자 회화에서 나타나는 말을 ‘입력어’라고 하는 정의는 유 효하며, 이와 같은 말을 ‘채팅 입력어’라고 정의했다. 한편, 전자화 문자에 의한 텍스트에는 ‘입력’이라는 행위가 주로 작용하기 때문에 ‘구어’는 물론이거니와 ‘문어’와도 다른 새로운 말이 발생했다. 표기의 다층구조(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로마자 등)와 독자적인 디지털 문 자입력방법(PC와 스마트폰의 키보드, 스마트 폰의 텐키 등)이 결합된 일본어 특유의 상황이 그 배경이 되는데,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말을 ‘기술의존 입력어’라고 정의했다. ‘입력어’는 1980년대부터 1990년대의 PC통신으로부터 시작되어, 1990년대의 ‘호출기’와 ‘핸드폰 메일’에 많이 사용되어, 현재에는 SNS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입력어’는 문 자를 통한 회화이기 때문에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나 반언어적 표현(半言語的表現, paralanguage expression) 정보가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이모티콘(이미지・텍스트), 이모지, 기 호와 같은 대체수단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 그 중에서 ‘라인(LINE)’과 같은 메신저 계열의 SNS에서는 ‘채팅 입력어’의 특징이 높게 나타나며, ‘트위터’와 같은 전자게시판 계열 SNS에 서는 ‘채팅 입력어’와 ‘기술의존 입력어’의 특징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
3. 研究方法
3.1. 調査対象と期間
3.2. 調査方法
4. 本論
4.1. 「打ち言葉」の定義
4.2. 「打ち言葉」の変遷
4.3. 「打ち言葉」の特徴,「LINE」と「Twitter」
5. まとめ
<参考文献>
<국문요지>

저자정보

  • 金曘泳 김유영. 同徳女子大学校 日本語学科 副教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