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변천과 정착

원문정보

The Changes and Settlement of the National Education for Korean Residents in Japan

이영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ational education for Korean Residents in Japan has been a key issue in the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since the independence. The national education implemented on the premise of returning to Korea after the independence faced a turning point in the 1970s. The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became less influential,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was spread to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and more people entered Japanese schools. In this situation, the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practiced the national education with practicality such as having real Korean name. In the 1980s, the community sought to implement various education methods such as the reorganization of textbooks, reform of curriculum and visit Korea program by private organizations. In the 1990s, as Korean schools began to take part in Japanese society, and the education curriculum was revised,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oriented education was implemented. After the 2000s, the national education related to June 15th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and Japan’s multicultural coexistence policy is implemented. In the global era and the multicultural coexistence period,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show more flexible min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nationality while conveying messages about multicultural coexistence and letting the world know Japan’s educational discrimin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the national education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ir multilateral efforts for competitiveness, coexistence and succession of ethnicity can be identified, along with their characteristics beyond nationality and border.

한국어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은 해방이후부터 현재까지 재일조선인 사회를 관통하는 핵심논제였다. 해방 이후 조국으로의 귀국을 전제로 수행되었던 민족교육은 1970년대 전환점을 맞이한다. 재일조선인 사회에서는 조직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2・3세대를 중심으로 정주의식이 확산되며 일본학교 진학이 증가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재일조선인 사회에서는 본명실천 운동을 비 롯한 현실성을 갖춘 민족교육을 추진한다. 1980년대에는 교과서 개편을 비롯한 교육과정 개 혁, 민단의 모국방문교육 등 다양한 교육방안을 강구한다. 1990년대에는 조선학교가 일본사 회로 다가서고 교육커리큘럼을 개정하며 일본 정주 중심의 교육을 추진한다. 2000년대 이후 에는 6・15 남북 공동 선언과 일본의 다문화공생 정책과 연동된 양상의 민족교육을 시행한다. 글로벌시대와 다문화공생 시대에 재일조선인들은 국적에 얽매이지 않는 한층 유연한 사고 를 보이는 한편 민족교육을 매개로 일본의 교육차별을 세상에 알리며 다문화공생에 관한 메 시지를 발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후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전개와 변천을 통해 재일조선 인들의 일본에서의 길항과 공생, 민족성의 계승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국적, 경계를 넘나드는 재일조선인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해방 이후 민족교육의 쟁취와 구축
3. 1970년대 -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의 전환기
4. 1980-90년대 - 교육개혁을 통한 일본사회로
5. 2000년대 민족교육과 공생사회 일본
6.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이영호 Lee Youngho.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전문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