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록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자본 - 1960년대 오키나와 ‘기록운동’의 전개와 한계 -

원문정보

Record Communication and Social Capital : The Development and Limitation of the Recording Movement in Okinawa in the 1960s

노선영, 최은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ost World War Two Okinawa was forced to sacrifice itself due to a unique situation: the occupation of the military by foreign forces and the separation from mainland Japan. For Okinawa, the history of overcoming the pain of being abandoned by the mainland has been a history of overcoming this sense of damage. During the defining period of the scope of the postwar population, some foreigners living in Okinawa were not granted their civil rights because they were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legal system, and even their human rights were not properly protected. Located in the blind spot of this legal system, they were like paradoxical beings, they existed but did not legally exist. This paper viewed the “Records Movement,” which revealed the existence of a small number of foreigners in Okinawa, Japan in the 1960s. As communication and dialogue were prompted to promote both civil rights and human rights, it also examined how social capital formed by “Record Communications” affected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As a result, it is inferred that Okinawa's record movement did not lead to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t the public level due to the deepening of individualism when industrialization was underway. The absence of continuous and influential advocacy in the period did not develop due to the deepening of real human rights. Nevertheless, it is a meaningful attempt to apply the hypothesis that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record communications deepened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to Okinawa's case. This paper revealed that Okinawa's recording movement in the 1960s provided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the change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But the gap with the structural, political and socioeconomic realities of the time remained an unfinished social movement, failing to convert the qualitative changes in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to social capital.

한국어

오키나와는 외국군의 군사점령, 본토로부터의 분리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희생을 강요당 했고, 본토로부터 버림받았다는 아픔을 극복해온 역사는 곧 피해의식을 극복해온 역사였다. 전후 국민의 범위를 획정하던 시기 오키나와에 거주하던 일부 외국인들은 법제도의 경계 외 부에 존재하여 민권을 부여받지 못하고 인권조차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상황이 초래되었 다. 법제도의 사각지대에 위치한 그들은 존재했지만 존재하지 않았던 역설적 존재였던 것이 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논문에서는 1960년대 일본 오키나와 내 소수 외국인들의 존재 를 드러나도록 한 ‘기록운동’을 민권・인권 증진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으로 보고, ‘기록 커뮤니케이션’으로 형성된 사회적 자본이 인권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았다. 결과적 으로 오키나와의 기록운동은 산업화가 진행되었던 시대적 상황에서 개인주의의 심화, 지속적 이고 영향력있는 애드보커시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공적 차원의 사회적 자본 형성으로 이어 지지 못했고, 진정한 인권증진의 심화로는 발전하지 못한 것으로 유추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록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인권증진을 심화한 다.”는 가설을 오키나와의 사례에 적용해본 것은 의미 있는 시도이다. 본 논문은 1960년대 오 키나와의 기록운동이 인권 의식의 변화에 중요한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을 밝혔다. 그러나 당 시의 구조적, 정치적, 사회경제적 현실과의 간극으로 인해 인권 상황의 질적 변화를 추동하는 사회적 자본으로 변환하지 못한 채 미완의 사회운동으로 머물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커뮤니케이션과 기록
2.1. 기본권으로서의 ‘기록 커뮤니케이션’
2.2.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기록
2.3. 기록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자본
3. 오키나와에서의 기록 커뮤니케이션
3.1. 오키나와 전쟁 전・후 상황
3.2. 일본인의 가치관을 통해 파악한 사회적 자본 형성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노선영 Noh, Sunyoung. 통일부
  • 최은봉 Choi, Eun-bong.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