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ous perspectives that children can provide by utilizing specific physical spaces for play, and to study how to effectively apply them to surrounding spaces and environments. AHP was used to analyze the preferred elements for effectively designing a play area. The main keywords were derived through case studies of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play space designs, and each keyword was grouped and a keyword of a higher concept was derived.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14 keywords that were finally drawn using AHP for each element were used to derive the priority for the preferred elements. As a result, preference was derived in the order of “Openness”, “Safety”, and “Diversity” in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he play space, and “Adventure”, “Five senses elements”, “Visual elements” and “Interactivity” in the content properties of the play space.
한국어
본 연구는 어린이들의 창의적인 놀이 행위를 위해 특정한 물리적 공간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에 대해서 디자인하기 위한 필요 요소에 대해 조사하고, 주변 공간과 그 환경에 그 결과를 효과적으로 적용 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놀이 공간을 효과적으로 디자인하기 위한 선호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서 AHP 분석 방법을 활용 하였다. 다양한 국내외의 놀이 공간 디자인의 사례 조사를 통해서 주요한 키워드를 도출하였으며, 각 키워드를 그룹핑 하고 상위 개념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서 최종 도출된 14가지의 키워드를 AHP를 활용하여 각 요소별 쌍대 비교한 결과를 통해서 놀이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한 선호 요소에 대한 우선 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놀이 공간의 형태적 속성에서는 “개방성”, “안전성”, “다양성” 등의 순서로 선호도가 도출되었으며, 놀이 공간의 콘텐츠적 속성에서 는 “모험성”, “오감 요소”, “시각 요소”, “상호작용성” 등의 순서로 선호도가 도출되었다.
목차
요약
1. Introduction
1.1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1.2 Boundary and Method of the Research
2.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Play Space
2.1 Concepts of Creative Play Space
2.2 Analysis on Creative Play Space Cases and Keyword Derivation
3. Analysis of Play Space Design Preference Factors Using AHP
3.1 AHP
3.2 Keyword Derivation of Play Space Design Using AHP
3.3 AHP Analysis on Sub-criteria
4.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