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체인지 왜곡 청소년의 스트레스, 슬픔과 절망감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tress, Sadness and Despair of Body Image Distortion Adolescents

권명진, 김선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istorted body image in adolescents according to sex. The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9). The subjects included 9,635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body type as overweight, despite having a normal body mass index. The main finding indicated that high levels of fast food consumption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feelings of stress, sadness, and despair in both males and females. In addition, both males and females experienced elevated levels of stress, sadness, and despair when they perceived that they were not sufficiently physically a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distorted body image.

한국어

본 연구는 신체를 왜곡되게 인지하고 있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정서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 되었으며 제 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제 15차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전체 대상자 중 정상체질량 지수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체형을 살이 찐 편이라고 인지한 13-18세 청소년 9,635명으로 남자 3,640명과 여자 5,995명이었다. 주요 분석방법은 신체인지왜곡을 가진 청소 년의 성별에 따른 정서와 일반적, 신체적 및 심리적 요인간의 관계는 복합표본통계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 였다. 주요 결과는 패스트푸드를 많이 섭취할수록 남녀 모두 스트레스와 슬픔과 절망감이 높았으며 대부분 유의하였다 (p<.05). 또한 신체활동을 안하는 경우 남녀 모두 스트레스를 더 받았으며 슬픔과 절망감은 신체활동을 안하는 경우 더 적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본 연구결과는 신체인지 왜곡 청소년을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조사 방법
2.4 연구 변수
2.5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비교
3.2 대상자의 신체적∙심리적 특성 비교
3.3 성별에 따른 슬픔과 절망감 관련 요인
4. 논의
5. 결과
REFERENCES

저자정보

  • 권명진 Myoungjin Kwon.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 김선애 Sun Ae Kim.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