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wareness, Korean dance imag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the intention for Korean teens to experience Korean dance. The respondents were 45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in Seoul and the Gyeonggi Provi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off, it was discovered that only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age of Korean dance. Also that Korean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nd utilization create the overall impact on the image of Korean dance. Secondly, the image of Korean d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eservation of Korean cultural heritage. Next, the image of Korean d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of teens to experience Korean dance. Finally,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was not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eens intention to experience Korean dance.
한국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한국전통문화인식, 한국무용이미지, 문화유산보존 그리고 한국무용체험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서울과 경기도의 중·고등학생 482명에게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459부의 설문지를 SPSS 25.0과 AMOS 25.0로 자료처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 다. 첫째, 한국전통문화인식 중 한국전통문화관심만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전 통문화교육과 한국전통문화활용능력은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 이미지는 한국문화유산보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셋째, 한국무용이미지는 한국무용체험의도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유산보존은 한국무용체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가설
2.1 한국전통문화인식과 한국무용이미지의 관계
2.2 한국무용이미지와 문화유산보존의 관계
2.3 한국무용이미지, 문화유산보존과 한국무용체험의도의 관계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조사 도구
3.3 신뢰도 및 타당도
3.4 자료처리 방법
4. 결과
4.1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변수별 차이검증 결과
4.2 연구모형의 적합도결과
4.3 연구가설 검증
5. 논의
6.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