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만 중년 남성의 비만 유형별 체질량지수와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간의 관련성

원문정보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Insulin Resistance and Beta Cell Function by Obesity Type in Obese Middle-Aged Men

신경아

초록

영어

This study wanted to confirm the relevance between body mass index(BMI) and insulin resistance and beta-cell function based on abdominal obesity in obese middle-aged men. This study targeted 797 obese middle-aged men who had undergone health checkups at general hospitals in Gyeonggi-do from January 2018 to June 2020. There were 327 in the group with abdominal obesity and 470 in the group without abdominal obesity. Glucose(p <0.001), HbA1c(p =0.003), insulin(p <0.001), HOMA-IR(p <0.001) was different between groups. BMI was a factor affecting insulin resistance and beta cell function regardless of the with or without of abdominal obesity. BMI was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disease of insulin resistance and beta cell functional degradation regardless of the with or without of abdominal obesity.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manage the indicators of the BMI through exercise programs and regular checkups for health management of middle-aged obese men.

한국어

이 연구는 비만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복부비만 유무에 따른 체질량지수와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8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비만 중년 남성 7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부비만 동반군은 327명, 복부비만을 동반하지 않은군은 470명이며, 두 군간에 공복 혈당(p <0.001), HbA1c(p =0.003), 인슐린(p <0.001), HOMA-IR(p <0.001)은 차이가 있었다. 체질량지수는 복부비만 동 반 유무와 관계없이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또한 체질량지수는 복부비만 동반 유무와 관계없이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저하의 질환 발병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중년 비만 남성의 건강관리 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 수행 및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체질량지수의 지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대상자
2.2 연구방법
2.3 통계학적 분석
3. 결과
3.1 복부비만 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성
3.2 체질량지수와 혈당관련 지표간의 상관성
3.3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에 대한 체질량지수의 영향
3.4 체질량지수와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저하 발병간의 관련성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신경아 Kyung-A Shin. 신성대학교 임상병리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