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신구법천문도 채색 안료 비교 및 제작시기 추정

원문정보

Comparison of Pigments and Estimation of Production Period in Old and New Celestial Charts Folding Screens

오준석, 황민영, 야마토 아스카, 아라이 케이, 이새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igments of three old and new celestial charts folding screens(Celestial Chart(Folding Screen) and Old and New Celestial Charts, Eight-Panel Folding Screen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Koudou-Nanboku-Ryousouseizu of National Diet Library of Japan) were analyzed to estimate their dating. It was estimated that the Celestial Charts(Folding Screen) was painted using traditional pigments from the Joseon dynasty such as azurite, indigo lake, malachite, atacamite, vermilion, iron oxide, cochineal, gamboge, orpiment, lead white, talc and soot. The green and blue colors of the Old and New Celestial Charts, Eight-Panel Folding Screen and Koudou-Nanboku- Ryousouseizu were painted using artificial inorganic pigments such as emerald green and ultramarine blue. These pigments were imported from Europe post the mid-19th century. In the O ld a nd N ew Celestial Chart, Eight-Panel Folding Screen, only artificial inorganic pigments were used for green and blue colors. However in the Koudou-Nanboku-Ryousouseizu, emerald green and atacamite in green color, and ultramarine blue and indigo lake in blue color were used together. Based on both the results of pigment analysis and the study of star charts and inscriptions, the Celestial Charts(Folding Screen) was painted post mid-18th century. The Koudou-Nanboku-Ryousouseizu and Old and New Celestial Charts, Eight-Panel Folding Screen were painted after green and blue artificial pigments were imported in the mid-19th century. The Koudou-Nanboku-Ryousouseizu in which both traditional and western artificial pigments were used, can be dated earlier than the Old and New Celestial Chart, Eight-Panel Folding Screen.

한국어

신구법천문도 3점(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천문도(병), 신구법천문도 8폭 병풍, 일본 국회도서관 소장 황도남북양총성도)에 대한 채색 안료 분석 및 이를 통한 제작시기를 추정하 였다. 천문도(병)에서는 조선에서 널리 사용되어오던 석청(남동광), 청화(쪽), 석록(공작석), 하엽(아타카마이트), 주, 석간주(산화철), 연지(코치닐), 등황, 석자황, 연분, 활석 등과 같은 전통 적인 유⋅무기질 안료들이 사용되었다. 신구법천문도 8폭 병풍와 황도남북양총성도에서는 19세기 중엽 이후 유럽에서 유입된 합성 무기안료인 양록(에메랄드 그린)과 양청(울트라마린 블루)가 사용되었다. 신구법천문도 8폭 병풍에서는 녹색과 청색에 합성 무기안료만 사용되었 지만, 황도남북양총성도에서는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하엽과 청화도 함께 사용되었다. 신구 법천문도의 성도와 도설 연구와 연계하여 안료 분석결과로부터 추정한 제작시기는, 조선시대 전통안료만으로 채색된 천문도(병) 18세기 중엽 이후로 추정되며, 황도남북양총성도와 신 구법천문도 8폭 병풍은 19세기 중엽 서양의 녹색과 청색 안료가 도입된 후 제작되었다. 그리고 전통안료와 서양의 합성안료가 함께 사용된 황도남북양총성도가 신구법천문도 8폭 병풍 보다 제작시기가 빠른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분석 대상
3. 분석 방법
3.1. 디지털현미경
3.2. 휴대형 X-선형광분광기
3.3. 적외선분광광도계
3.4. 섬유광반사분광계
4. 분석 결과
4.1. 칠정도
4.2. 황도남북양총성도
4.3. 천상열차분야도 황도십이궁십이국분야
5. 고찰
5.1. 채색 안료의 사용 시기 비교
5.2. 신구법천문도 도상 비교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오준석 Joon Suk Oh. 국립민속박물관 보존과학실
  • 황민영 Min Young Hwang. 국립민속박물관 보존과학실
  • 야마토 아스카 Asuka Yamato. 일본국 토쿄예술대학 대학원 미술연구과 보존수복일본화연구실
  • 아라이 케이 Kei Arai. 일본국 토쿄예술대학 대학원 미술연구과 보존수복일본화연구실
  • 이새롬 Sae Rom Lee. 국립민속박물관 보존과학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