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ructural Relationships of GRIT,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ing on Medical Center Employees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a structural model that predict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GRIT and job crafting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medical center employees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50 subjects, including doctors, nurses, administrative staff, and technical health service staff working at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from June 1, 2020 to June 15, 2020,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GRIT, the more active the job crafting(β=.751, p<.001), which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β=.297, p=.005) and job satisfaction(β=.353, p<.001). Although the GRIT of medical center employees did not show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dicato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employees’ job crafting thoroughly played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useful information in developing measures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medical center employees.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릿과 잡 크래프팅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의 조직효과성 결과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예측하고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구조모형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일개 대학 부속병원에 근무하 는 의사, 간호사, 행정직원, 기술보건직원 등 450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그릿이 높을수록 잡 크래프팅 활동 이 더 활발하였으며(β=.751, p<.001), 잡 크래프팅은 조직몰입(β=.297, p=.005)과 직무만족(β=.353, p<.001)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병원종사자의 그릿은 조직효과성 지표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성원의 잡 크래프팅이 그릿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병원 종사자의 인적자원관리 방안 설정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2 측정 도구
2.3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변수의 차이
3.2 대상자의 그릿,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
3.3 구조모형 분석
4. 결론
4.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의의
4.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