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혈압 환자 대상의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운영 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Mobile based-Healthcare Service for Hypertension Patients

서범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mobile healthcare service which was provided to employees diagnosed with hypertension in employee‘s health checkup. The study subjects were 146 employees and nurse measured their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and blood tests at the clinic in a workplac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fte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mobile text message for 8 weeks, blood test and blood pressure was measur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blood pressure(SBP: 139.32±10.38 → 133.96±11.31, DBP: 98.13±6.21 → 94.28±8.56) and blood test(HDL: 47.90±9.79 → 51.40±9.79, HbA1C: 5.96±.66 → 5.65±.71) were more significantly reduced in 56 employees with a systolic blood pressure of 140 mmHg or diastolic blood pressure of 90 mmHg or 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for self-management of blood pressure by receiving text messages on a mobile basis was effectiv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healthcare services that provide text information using mobile to improve drug usage, physical exercise, and eating habits.

한국어

본 연구는 직장에서 건강검진결과 고혈압으로 진단받은 임직원을 대상으로 모바일을 통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 고 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A직장의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임직원 146명을 대상으로 사업장 내 설치되어 있는 의원에서 간호사가 혈압과 체질량지수 그리고 혈액검사를 측정하였다.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생활습관에 대해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모바일을 통한 문자 메시지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8주간 제공한 이후에 혈액검사와 혈압측정을 실시하여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수축기 혈압 140 mmHg 또는 이완기 혈압 90 mmHg 이상의 고위험군 56명에서 혈압(SBP; 139.32±10.38 에서 133.96±11.31, DBP; 98.13±6.21에서 94.28±8.56)과 혈액검사(HDL; 47.90±9.79에서 51.40±9.79, HbA1C ; 5.96±.66에서 5.65±.71) 결과가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결과로 모바일을 기반으로 문자 메시지를 제공하고 스스로 혈압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직장 내 고혈압 환자의 약물복용, 운동 및 식생활 개선을 위해 문자로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도입에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참여자 선정 및 윤리적 고려
2.3 연구 도구
2.4 자료 분석
3. 연구 결과
3.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3.2 위험수준에 따른 연구 참여자의 질환적 특성
3.3 모바일 중재서비스 전후 효과
3.4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의 모바일 중재서비스 전후 효과
3.5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의 혈압에 대한 모바일 중재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서범준 Bum Jeun Seo. 연세대학교 의학통계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