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The Influence of Harsh Parenting and Ego-resiliency on Aggression of Children -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eachers at a Regional Center for Children -

원문정보

폭력적 양육방식과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

Mun Seol Eom, Yang Hee Lee, Sang Won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ggression displayed by children is a widespread social problem. Children may be aggressive due to the influence of violent parenting in the home environment, which could be mediated by ego-resiliency. This study proposed a hypothesis that the level of eco-resiliency depends on the child’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t a regional center for children. Based o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harsh parenting and eco-resiliency on aggression of children,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teachers at a regional center for children. The responses from 606 4th-grade children who attended the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were extracted from the Regional Center for Children Panel and analyzed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l. The findings showed that ego-resiliency mediated the path from harsh parenting to aggression of children and the path depended 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t the center. This study reaffirmed the role of teachers at the regional center for children who may contribute to building an environment where children can cope well with adverse events at home.

한국어

아동의 공격적인 성향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부모는 아동이 생애 초기부터 상호작용 하는 대상으로 아동에게 가장 근접한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여 폭력적인 양육을 받을 경우 아동 의 공격성으로 이어지기 쉽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사회적 자원에의 접근이 제한된 지역아동센터 를 이용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폭력적 양육방식이 탄력성을 매개로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있 어서 지역아동센터 교사와의 관계에 따라 그 경로가 변화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패널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 606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아동의 탄력성은 폭력적 양육방식과 공격성 간의 경로를 매개했으 며, 그 경로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생각했을 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재확인 하고, 이들이 특히 아동이 폭력과 같은 가정 내 위기 상황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데 작동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이는 지역아동센터 운영방안에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모형 및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Mun Seol Eom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Yang Hee Lee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Sang Won Kim Family Translational Research Group, New York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