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The Effect of the ‘Becoming Smart Patients’ Program on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Patients in Korea

원문정보

스마트환자되기 간호중재가 암환자의 디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un Ha Kim, Kye Ha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cancer patient, using the concept of “smart patients”, on patient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dopt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for 21 cancer patient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19 patients as a control group. The nursing intervention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eight weeks, beginning January 10, 2015, while booklets on distress management were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To measure the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subjects, the distress thermometer, problem list, and the Korean Version McMaster Quality of Life Scale (MQLS) were used. It is found that the ‘Becoming Smart Patients’ nursing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distres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hat helps patients become smart may reduce distr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in South Korea. Nurses who care for cancer patient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family and medical staff.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환자 개념을 사용하여 암환자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디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연구설계가 사용되었다. 대상자는 암환자로서 실험군에는 21명, 대조군에는 19명으로 구성되었다. 간호중재는 2015년 1월 10일에 시작 하여 8주 동안 실험군에게 적용되었다. 대조군에게는 디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유인물이 제공되었다. 대상자의 디스트레스와 삶이 질을 측정하기 위해 디스트레스 온도계, 문제 목록, 한국판 McMaster Quality of Life Scale (MQLS)가 사용되었다. ‘스마트환자되기’ 간호중재는 디스트레스 정도와 일부 디스트레스 문제를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이 결과는 스마트환자되기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한국의 암환자에게 디스트레스를 낮추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은 가족 및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이 중요함을 인식해야 한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ethod
1. Research design
2. Participants
3. Measurements
4. Data collection and ethical consideration
5. Data analyses
Ⅲ. Results
1. Homogeneity between intervention group and comparison group
2. Comparison of scal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pplication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s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Eun Ha Kim Department of Nursing,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Kye Ha Kim Department of Nursing, Chosu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