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데니스의 숭고론 : 경이에서 공포로

원문정보

Dennis’ Sublime Theory : From Wonder to Terror

정다영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96집 2020.03 pp.153-18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nnis gave a new direction to the sublime concept by christianly reinterpreting Longinus's sublime theory rediscovered by Boileau, but it was hidden by Burke and not properly apprecia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justify the role of Dennis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ublime concept. Dennis is the man who shifted the sublime's main emotions from wonder to fear. He interprets that Longinus's ‘great ideas’ are religious ideas, which provoke us a enthusiastic passions with fear. Dennis gives the sublime a new direction by designating the fear which Longinus regarded as a subordinate emotion as the sublime's main feeling and insisting that the fear brings us great pleasure. He left the task of identify the possibility of unpleasant pleasure. He also distinguished sublime from beauty before Burke. It became the foundation that forms the sublime aesthetic that is distinct from the aesthetic of beauty.

한국어

데니스는 부알로에 의해 재발견된 롱기노스의 숭고론을 기독교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숭고개념에 새로운 방향을 부여했지만, 버크에게 가려져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데니스가 근대 숭고개념의 형성에서 맡았던 역할을 정당하게 평가하는 것이다. 데니스는 숭고의 주된 감정을 ‘경이’에서 ‘공포’로 옮겨놓은 장본인이다. 그는 롱기노스가 말했던 ‘위대한 사상’은 곧 종교적인 관념들이며, 그것은 우리에게 공포를 동반하는 열광적인 정념을 불러일으킨다고 해석한다. 데니스는 롱기노스가 하위의 감정으로 간주했던 공포를 숭고의 주된 감정으로 지정하고, 그 공포가 우리에게 엄청난 쾌를 가져온다고 주장함으로써 숭고 이론에 새로운 방향성을 부여한다. 그는 ‘불쾌의 쾌의 가능성’을 규명하는 것을 이후 이론가들에게 과제로 남겼다. 또한 그는 버크에 앞서 숭고와 아름다움을 구분했으며, 이 구분은 아름다움의 미학과 구분되는 숭고 미학의 형성에 단초가 되었다.

목차

요약문
1. 문제
2. 데니스의 롱기노스 해석
3. 일상적 정념과 열광적 정념의 구분
4. 경이에서 공포로
5. 자연의 숭고의 출현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다영 Jung, Da Young. 전남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