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寶鏡三昧本義』에 나타난 截流行策의 五位觀 고찰

원문정보

A studies of view by HangCe(行策) about BaoJingSanMei(寶鏡三昧) -Focusing on the BaoJingSanMeiBenYi(寶鏡三昧本義)-

『보경삼매본의』에 나타난 절류항책의 오위관 고찰

김호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oJingSanMei(寶鏡三昧) was written by Tungshan-Liangchieh(洞山良价) in Tang-dynasty. Among the BaoJingSanMei, we can see the terms and phrases, so called, The six divination signs, and The fivefold relation of ultimate reality and phenomena. Later, BaoJingSanMeiBenYi(寶鏡三昧本義) was written by JieLiuHangCe(截流行策) in Qing-dynasty. It is an annotated edition about the terms of The six divination signs(重離六爻) and The fivefold relation of ultimate reality and phenomena(正偏回互) is contained the BaoJingSanMei. Especially, we must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term The fivefold relation of ultimate reality and phenomena. The fivefold relation of ultimate reality and phenomena expounded by Tungshan-Liangchieh(洞山良价), Tsaoshan-Penchi, Shihshuang-Chuyuan(石霜楚圓) and Fenyang-Shanchao(汾陽善昭). They are ① ultimate reality encompassing phenomena, ② phenomena encompassing ultimate reality, ③ ultimate reality along, ④ phenomena along, ⑤ ultimate reality is one with, and separate from, phenomena, according to Tsaoshan-Penchi. HangCe presentation of six diagrammatic chart in BaoJingSanMeiBenYi. They are BaoJingSanMeiTuShuo(寶鏡三昧圖說), ZhengPianHuiHuTuShuo(正偏回互圖說), SanDieFenGuaTuShuo(三疊分卦圖說), WuBianChengWeiTuShuo(五變成位圖說), ErYuXianFaTuShuo(二喩顯法圖說) and LiuYaoSheYiTuShuo(六爻攝義圖說). The first is general summary, and the others are the particulars. And HangCe assumed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explanatory notes about The six divination signs and The fivefold relation of ultimate reality and phenomena by Juefan-Huihong(覺範慧洪) and YongJue-Yuanxian(永覺元賢).

한국어

동산양개는 그의 제자 조산본적과 더불어 중국 조동종의 개조이다. 동산이 지은 『寶鏡三昧(歌)』에는 이후 조동종의 교의에서 중시되고 있는 정편오위의 사상적인 기반이 되어 있는 어구로서 重離六爻 및 偏正回互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후에 이들 어구에 대한 많은 주석가들이 출현하여 심도 있는 해석을 가함으로써 조동종의 교의로서 더욱 중요시되었다. 그 가운데 청대 蓮宗의 조사인 截流行策은 『寶鏡三昧本義』를 저술하여 동산의 『보경삼매』에 나오는 重離六爻 偏正回互 疊而爲三 變盡成五 등의 어구에 대한 해설로서 육종의 圖說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총론적인 설명에 해당하는 寶鏡三昧圖說을 비롯하여 正偏回互圖說・三疊分卦圖說・五變成位圖說・二喩顯法圖說・六爻攝義圖說이었다. 이들 육종도설과 결부시켜서 행책은 조동오위의 비유와 관련된 重離六爻 및 偏正回互에 대하여 송대 각범혜홍의 오위관에 대하여 네 가지 견해를 비판하고, 명대 영각원현의 오위관에 대해서도 비판을 가하였다. 이 가운데 네 번째에 해당하는 五變成位圖說에 대하여 고찰해보고, 다섯 번째의 二喩顯法圖說에 드러난 결과를 바탕으로 행책이 비판한 내용을 통해서 그의 오위관은 어떤 입장이었는지 고찰하였고, 오위관의 전승에서 행책의 위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목차

【요약문】
1. 서언
2. 행책과 『보경삼매본의』의 저술 동기
3. 五變成位圖說에 보이는 오위관
4. 혜홍과 원현의 오위관에 대한 행책의 비판
5.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호귀 Kim, Ho Gui.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