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마뉘엘 칸트와 앙리 베르그손의 종교론 비교-베르그손의 생명이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Kant’s and Bergson’s Theory of Religion: Focusing on Bergson’s Theory of Life

김성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oblem of religion is not only the oldest philosophical thesis but also the most persistent experience since the history of mankind. If experience and reason are the fundamental attitudes of human beings to understand the world including religion, we also face the methodical principle of inquiry of experience and reason in the philosophical inquiry of religion.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religion theory of Kant and Bergson to explain religion through the principle of experience and reason. Through this, we can see what their religion theory means in our religious experience today. We will first approach Bergson's analysis of life. Understanding of life is a starting point for the understanding of religion and corresponds to conceptual preparation.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existence must be clarified on the macroscopic level of life in order to properly explain the cognitive function of human existence called experience and reason. Based on this, we intend to show how understanding of life is connected with moral concept as an inevitable gateway to understanding religion.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although there is a gap between Kant and Bergson's understanding of different moral theories, in particular the origins of religion, their religion theory converges to today's call for reflection and determination on religiosity.

한국어

종교에 관한 문제는 가장 오래된 철학적 논제임과 동시에 인류 역사 이래로 가장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경험이다. 경험과 이성이 인간 존재가 종교를 포함한 세계를 이해하는 근본적인 태도라고 한다면, 마찬가지로 우리는 종교에 관한 철학적 탐구에 있어서도 경험과 이성이라는 종교 탐구의 방법적 원리를 마주하게 된다. 이 글의 주된 목적은 경험과 이성이라는 원리를 통해 종교를 해명하고자 하는 칸트와 베르그손의 종교론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들의 종교론이 오늘날 우리의 종교적 경험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우선 베르그손의 생명에 관한 분석을 토대로 접근할 것이다. 생명에 관한 이해는 베르그손의 입장에서 보면 종교의 이해를 위한 출발점이며, 개념적 준비 작업에 해당된다. 왜냐하면 경험과 이성이라고 하는 인간 존재의 인식 기능을 제대로 해명하기 위해서는 생명이라고 하는 거시적인 차원에서 인간 존재의 특성이 해명 되어야 되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우리는 생명에 관한 이해가 어떻게 종교를 이해하기 위한 필연적 관문으로서의 도덕 개념과 연결되는지 드러내고자 한다. 그 결과 서로 상이한 도덕론, 특히 종교의 근원에 대한 칸트와 베르그손의 이해 사이에 건널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종교론이 오늘날 종교성에 대한 반성과 결단의 촉구로 수렴됨을 볼 수 있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며
2. 칸트와 베르그손에 있어서 도덕의 원천과 종교이론으로의 이행
1) 칸트의 도덕이론
2) 베르그손의 생명이론과 도덕의 원천
3. 칸트와 베르그손의 종교이론 비교: 이성 종교와 역동적 종교
1) 칸트의 이성적 종교
2) 베르그손의 역동적 종교와 신비체험
4.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훈 Kim, Seong Hun. 조선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