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허치슨의 도덕감과 도덕적 승인 -『아름다움 및 덕 관념의 기원에 대한 탐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Hutcheson’s moral sense and approbation

안현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Hutcheson’s theory, with an emphasis on a moral sense in An Inquiry into the Original of Our Ideas of Beauty and Virtue.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controversy centered around the views of Hobbes, Shaftesbury, Manderville, and Hutcheson, it seems necessary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moral sense. The sharp contrast between egoism and altruism is enhanced by Hutcheson. Taking into account the moral theory of Hutcheson in Inquiry, we can conclude that: First, Hutcheson accepted Locke’s epistemology and added the moral sense to a reflexive sense. It reveals that the morality has a strong association with the natural feeling of humans. Second, Hutcheson criticized egoism as he argued at length that moral approval is a disinterested response to the world. The major purposes of Inquiry are defense about Shaftesbury and criticism about Manderville. He emphasized frequently that we necessarily love and approve a virtuous person without any regard to our future interests. Third, Hutcheson tried to show that individual virtue greatly redounds to the public good by computing the morality of actions. In this regard, he had utilitarian aspects. But ‘the greatest happiness for the greatest numbers’ of him is not the end to be achieved but the instrument to demonstrate the maximum quantity of morality.

한국어

허치슨은 도덕감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샤프츠베리와 영국 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철학자 중 한 사람으로 간주되는 흄에 가려서 그 사상적 중요성이 간과되곤 한다. 하지만 샤프츠베리가 도덕감을 처음 사용했을지라도 그 사용이 임의적이었던 것에 반해, 허치슨은 도덕감을 체계적으로 해명하려고 시도한다. 허치슨은 도덕감을 처음으로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도덕감정론자로서 당대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흄의 윤리학 또한 허치슨의 이론을 크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은 유의할 만하다. 허치슨의 특징을 정리하면, 첫째, 허치슨은 로크의 감관과 반성의 구분을 받아들이고 거기에 미감과의 유비적 설명을 통해 자신의 도덕감을 추가한다. 이는 도덕적 행위 여부를 이성이 판단하는 것이 아닌 일종의 감관과 같은 능력에서 수동적으로 지각하는 것이라 규정함으로써 도덕이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임을 보여준다. 둘째, 허치슨은 심리적 이기주의를 비판한다..『탐구』의 주된 목적은 샤프츠베리의 옹호와 맨더빌에 대한 비판이다. 따라서 그는 도덕성의 판단이 이익과 무관한 도덕적 정서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셋째, 허치슨은 개인의 덕이 공공선에 크게 이바지 한다는 것을 도덕성의 산정을 통해 보이려 한다. 이런 점에서 그는 공리주의적 면모도 지니지만, 공리주의자와 달리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목표가 아니라 최대한의 도덕성을 발휘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는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감관들
3. 도덕적 승인의 원리
4. 도덕적 행위의 산정
5. 미감과 도덕감의 관계문제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현석 Ahn, Hyun Seok. 전남대학교 철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