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행복과 도덕-플라톤, 칸트, 니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Happiness and Morality : Focusing on Plato, Kant and Nietzsche

이유택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91집 2018.12 pp.127-15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history of the question of happiness is as old as the history of philosophy. Many great philosophers have used happiness as a subject of philosophical inquiry in various ways. One of the philosophical inquiry methods of happiness is to discuss it in relation to morality. Some philosophers pay attention to the identity of happiness and morality, and some philosophers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way in which we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makes clear the difference in the way we understand happiness. This article focuses on Plato, Kant, and Nietzsche as representatives of the ques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in philosophical history. These three philosophers have different philosophical interests and methodologies, but at least they seem to have in common that they have ask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Plato thought that happiness and morality were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like the two sides of a coin. For him, happiness is only realized through morality(justice) and morality was the ultimate goal of happiness. Kant, on the other hand, saw that happiness and morality are fundamentally different. Morality is never a means to reach happiness, and happiness is not the purpose of morality. Nietzsche also talks about the identity of happiness and morality. But this is no longer a platonic identity. Because Nietzsche understand the meaning of happiness, morality, and the relationship of both in a different way from traditional philosophy.

한국어

행복에 대한 물음의 역사는 철학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많은 위대한 철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행복을 철학적 탐구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행복에 대한 철학적 탐구 방식 중 하나는 그것을 도덕과 연관시켜 논의하는 것이다. 어떤 철학자는 행복과 도덕의 동일성에 주목하고, 어떤 철학자는 양자의 차이에 주목한다. 행복과 도덕의 관계를 어떻게 보느냐를 통해서 행복에 대한 이해방식의 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이 글은 철학사에 나타난 행복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탐구의 대표자로서 플라톤과 칸트, 그리고 니체를 주목한다. 이 세 명의 철학자는 서로 다른 철학적 관심과 방법론을 가지고 있지만, 적어도 행복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물음을 던졌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진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행복과 도덕이 동전의 양면처럼 불가분의 관계 속에 있다고 생각했다. 행복은 오직 도덕(정의)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도덕은 궁극적으로 행복한 삶을 위한 것이다. 반면에 칸트는 행복과 도덕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보았다. 도덕은 결코 행복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며, 행복은 도덕의 목적이 아니다. 니체도 행복과 도덕의 동일성에 대해 말한다. 하지만 이 동일성은 플라톤적 동일성이 아니다. 왜냐하면 니체는 전통철학과는 다른 방식으로 행복과 도덕, 그리고 양자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했기 때문이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플라톤: 행복과 도덕의 동일성
3. 칸트: 행복과 도덕의 차이
4. 니체: 행복과 도덕의 새로운 동일성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유택 Lee, Yu Taek. 계명대학교 Tabula Rasa College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