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심도심의 일원론화-노수신 심론의 경험적 읽기-

원문정보

Monistic Theory of Human Mind-Moral Mind : Experiential Reading of Noh Susin's Mind Theory

서영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experiential implications of Noh Susin's Human Mind-Moral Mind Theory and reveal its current vitality. 1) Noh defined Moral Mind as Ti of Wei-fa and Human Mind as Yong of Yi-fa according to the logic of Luo Jin Shun and argued the Ti-Yong Theory of Human Mind-Moral Mind. 2) His Mind penetrates ‘Nature-Emotion' and is structured into ’Moral Mind[性・體]-Human Mind[情・用].' Moral Mind is understood as ’Chuk' to practice moral essence for risky Human Mind. This means that he was oriented toward ‘Monistic Theory' centered around Moral Mind. 3) These discussions have an absolute emphasis on Mind-Nature Bulli inherent in them, but Noh's argument that they should exist as metaphysical and physical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does not mean that he regarded Mind and Nature as one because his Mind and Nature existed ’like one even though they were two.' It is at this point that his theory was distinguished from the discourse of 'Simjeukli.' Noh's Human Mind-Moral Mind Theory still seems ‘ideological' in that it assumed the essence of ‘being human' applied only to human beings and granted the order of nature to Moral Mind along with Neo-Confucianism. His ‘categorization' does not match the nature of the mind that has been explained scientifically, but his Human Mind-Moral Mind Theory offered an important opportunity to convert ’ideological Neo-Confucianism' to ‘experiential Neo-Confucianism' in that it accepted the body at the opposite end from nature as one of ’our conditions.' He maintained that the ’values that we want consciously' have something to do with ‘our body,' proposing ‘realistic virtue.’ In the middle 16th century, Joseon was in the ‘era of Chu Hsi studies.' Overturning his categorization of mind was to claim oneself as ’social other' beyond an uncomfortable challenge within the intellectual tradition those days. Noh's radical challenge was, however, a philosophical leap closer to our reality.

한국어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노수신(盧守愼)의 인심도심론이 가지는 경험적 함의를 검토하고, 그것의 현재적 생명력을 드러내는 것이다. 1)노수신은 나흠순(羅欽順)의 논의에 따라 도심을 미발의 체(體)로, 인심을 이발의 용(用)으로 규정, 인심도심체용론(人心道心體用論)을 주장한다. 2)그의 심(心)은 ‘성(性)-정(情)’을 관통하여 ‘도심[性・體]-인심[情・用]’으로 구조화되며, 도심은 위태로운 인심에 대하여 도덕적 본질을 실현하는 ‘축’으로 이해된다. 이는 도심 중심의 ‘일원론화’를 지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3)이러한 논의에는 심・성 불리(不離)의 절대적 강조가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형이상・하가 혼융무간(混融無間)으로 존재한다는 노수신의 주장이 심・성을 하나로 보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의 심・성은 ‘둘이지만 하나처럼’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는 ‘심즉리(心卽理)’의 담론과 구분점을 갖는 지점이기도 하다. 노수신의 인심도심론은 성리학과 함께 인간에게만 적용되는 ‘인간다움’의 본질을 가정, 도심에 자연한 질서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관념적’으로 보인다. 노수신의 ‘범주화’는 과학적으로 해명된 마음의 본성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인심도심론은 본성과 대척점에 배치했던 몸을 ‘우리의 조건’으로 수용했다는 점에서 ‘관념적 성리학’을 ‘경험적 성리학’으로 전환시키는 데 중요한 계기를 제공했다. 그것은 ‘의식적으로 원하는 가치들’이 ‘우리의 몸’과 무관하지 않음을 주장, ‘지상적인 덕’을 제안한 것이다. 16세기 중엽, 조선은 ‘주자학의 시대’다. 주희의 마음에 대한 범주화를 뒤집는 일은 당시의 지적 전통 안에서 거북한 도전을 넘어 ‘사회적 타자’를 자처하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수신의 급진적인 도전은 우리의 현실에 한층 다가서는 철학적 도약이었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범주적 오류의 기원: 주희의 인심도심론
3. 노수신의 인심도심체용론
1) 인심도심의 일원론화
2) ‘리’ 수호자들의 노수신 비판
3) 경험적 한계와 기여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영이 Seo, Young Yi. 조선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