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식사상의 관념론적 해석 고찰 : 근세 관념론적 해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Is Yogācāra Metaphysical Idealism?

정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idealistic interpretation of the thought of Yogācāra coincide with what Yogācāra’s scriptures say. It wa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at Yogācāra had been labeled as ‘idealism’ in the West. Many scholars including D. T. Suzuki, L. de La Vallée Poussin, E. Conze and others understood the Śūnyata of Mahayana Buddhism as Spirituality and regarded Yogācāra as similar to George Berkeley's Immaterialism. They constructed their interpretations of some idealistic premises: Mind only or Consciousness only(Vijñapti-mātra) creating and tending the Cosmos. The idealistic interpretation of Vijñapti-mātra implies two intractable problems that Yogacarins criticize in the scriptures: first, it denies physical ground as experiences of the ordinary world to explain the ultimate One Mind or Spirituality. Second, it sets cognitive isolation in a vacuum by denying physical ground and does not demonstrate the compatibility between perception and environment. To expose this problem, I first examine the concept of Western idealism and analyze the interpretation of Conze and Vallée Poussin based on the reading of Viṃśatikā-vijñaptimātratāsidhi-śāstra, Triṃśikā-vijñaptimātratā, and Tri-svabhava-nirdesa by Vasubandhu and then, confirm that their understandings are one of the extremes reversed what the scriptures say. This examination is to make clear that thought of Yogācāra is a rigorous analysis of experience in accordance with the way of operation of cognition, unlike the idealistic interpretation.

한국어

이 논문의 목적은 유식사상의 관념론적 해석이 경론의 내용에 부합하는 것인지 검토하는데 있다. 서구에서 유식사상이 관념론으로 불리게 된 것은 20세기 초반이다. 발레-푸셍(L. de La Vallée Poussin)이나 콘즈(E. Conze) 등의 학자들은 불교의 공사상 등을 영성(Spirituality)으로 이해했고 유식사상을 버클리의 유심론(immaterialism)과 유사한 것으로 간주했다. 유식의 관념론적 해석은 경전에서 비판되는 두 가지 난제를 함축한다. 하나는 궁극적인 마음/정신을 설명하기 위해 경험세계로서 신체적 지반을 부정한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신체적 지반을 부정함으로써 진공상태에 있는 인지적 고립을 설정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 해석은 인지와 환경과의 양립가능성을 설명하지 못한다. 필자는 먼저 서양의 관념론 개념을 검토하고 콘즈와 발레-푸셍의 유식사상에 대한 해석을 세친(世親, Vasubandhu)의 『유십이십론』과 『유식삼십송』, 『삼성론』에 근거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그들의 이해가 경전의 내용에 맞지 않는 극단적 입장임을 확인한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유식 관념론 해석에 대한 반론들
3. 관념론 개념 분석
4. 근세 서양의 유식 관념론적 해석의 간략한 역사적 배경
5. 콘즈와 발레-푸셍의 관념론적 해석과 그 비판
1) 콘즈의 해석과 플라톤주의적 일원론
2) 발레-푸셍의 해석과 루스트하우스의 비판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현주 Chung, Hyun Joo. 전남대학교 철학과(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