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코로나-19의 사회-공간 읽기

코로나19(COVID-19)의 초국가적 전파와 세계 항공 네트워크의 변화 간 연관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 : 연결 중심성을 이용한 항공 네트워크의 전역적·지역적 변화 탐색

원문정보

An Early Assessment of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Diffusion of Covid-19 and Evolving Worldwide Commercial Aviation Network : Exploring Global and Local Changes in Aviation Networks Using Node Degree Centrality

박용하, 손정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the COVID-19 pandemic, global aviation market is becoming stagnant. This study is an early assessment to understand crucial impact of the disease propagation on the aviation market through analyzing degree centrality changes of airports in the World Air transport Network(WAN), in comparison to spreading patterns of the disease. We employ K-means clustering to figure out spatio-temporal phases of the disease spread across countries in the world. Then, we apply degree centrality measure of the network analysis to OAG airlines schedules data, in order to capture the temporal changes of degree centrality distribution. Finally, we examine differential patterns of degree centrality distributions across countries grouped by the spatio-temporal phases of disease spread patterns. As a result, we find that density and size of the WAN have rapidly decreased from January to June in 2020, mainly affected by decreasing connectivity of medium- and large-hubs. Furthermore, the decreasing connectivity patterns appear differentially among regions and countries, with respect to their fluctuating periods and levels.

한국어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인한 세계 항공시장의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 나19 확산에 따른 항공시장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로서, 2020년 상반기 동안 국가별 코로나19의 확산 양상과 동 기간 세계 항공 네트워크의 전역적·지역적 축소 양상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 두 시공간 패턴 간 연관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① K-평균 군 집 분석을 이용하여 확진자 증가 추세가 유사한 국가들의 지역적 분포를 누적 확진자 규모와 그 규모에 도달한 시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살폈다. ② 네트워크 분석의 연결 중심성 지표 등 을 이용하여 항공 네트워크의 시기별·지역별 차별적인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③ 마지막으 로 군집 분석을 통해 도출된 확산 양상이 유사한 국가 군집 간 항공 네트워크의 연결 중심성 감소 추이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두 시공간 패턴 사이의 연관성을 살폈다. 분석 결과, 지난 상반기 동안 세계 항공 네트워크는 중·대형 허브들을 중심으로 연결성이 급속히 감소함에 따 라 네트워크의 범위와 밀도가 축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역 또는 국가 간 연결성의 감소 시기와 정도에는 편차가 존재하고 있었다.

목차

요약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문헌 연구
1) 코로나19 확산과 항공시장
2) 항공네트워크의 연결성 분석
3. 연구 방법 및 자료
1) 연구 방법
2) 데이터
4. 연구 결과
1) 전 세계 코로나19 확산 동향
2) 세계 항공 네트워크의 연결 중심성 및 공급 추이 변화
3) 코로나19 확산과 항공 네트워크의 축소 경향 간 연관성 분석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용하 Yongha Park. 한국교통연구원 항공교통연구본부 부연구위원
  • 손정웅 Jeongwoong Sohn. 한국교통연구원 항공교통연구본부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