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NN Mobile Net 기반 악성코드 탐지 모델에서의 학습 데이터 크기와 검출 정확도의 상관관계 분석

원문정보

Correlation Analysis of Dataset Size and Accuracy of the CNN-based Malware Detection Algorithm

최동준, 이재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t the present st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re rapidly developing, and there is a movement to apply machine learning technology in the security field. Malicious code, including new and transformed, generates an average of 390,000 a day worldwide. Statistics show that security companies ignore or miss 31 percent of alarms. As many malicious codes are generated, it is becoming difficult for humans to detect all malicious codes. As a result, research on the detection of malware and network intrusion events through machine learning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academia and industry. In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journals, research on security data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a field of machine learning, is presented. have. However, these papers focus on detection accuracy and modify several parameters to improve detection accuracy but do not consider the ratio of dataset.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reduce the cost and resources of many machine learning research by finding the ratio of dataset that can derive the highest detection accuracy in CNN Mobile net-based malware detection model.

한국어

현재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머신러닝과 인공지능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보안 분야에서도 머신러 닝 기술을 응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많은 악성코드가 생성됨에 따라 사람의 힘으로는 모든 악성코드를 탐지하기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학계와 산업계에서는 머신러닝을 통해 악성코드나 네트워크 침입 이벤트를 탐지하는 것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국제 학회와 저널에서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을 이용 한 보안데이터 분석 연구가 논문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해당 논문들은 검출 정확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검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파라미터들을 수정하지만 Dataset의 개수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NN Mobile net 기반 악성코드 탐지 모델에서 가장 높은 검출 정확도를 도출할 수 있는 Dataset의 개수을 찾아내 어 많은 머신러닝 연구 진행에 비용과 리소스를 줄이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관련 연구
2.1 Convolution Neural Network Mobile Net
2.2 CNN-Based Android Malware Detection
3. 연구 방법
3.1 데이터 수집, 점검
3.2 데이터 전처리 및 정제
3.3 CNN MobileNets 기반 악성코드 탐지 모델모델링 및 학습
4. 실험환경 및 결과
4.1 실험환경
4.2 실험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동준 Choi Dong Jun. 중앙대학교/융합보안학과
  • 이재우 Lee Jae Woo. 중앙대학교/산업보안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