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마셜 맥루언의 관점에서 본 정면적 카메라 쇼트의 의미

원문정보

Significance of Frontal Camera Shot on Marshall McLuhan’s Media Theory

이용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hots that take objects with the frontal angle look distinct in an aesthetic aspect. However, it does not stay on the aesthetic uniqueness, because all perceptions must be done on the symbolic status. On this premise, frontal camera shots always have suspense to an extent. This paper has uniqueness in that the suspense issue in meaning is dealt with Marshall McLuhan’s idea, which is evaluated as the core of all technical determinism. Simply to assert McLuhan’s idea as technical determinism is very hasty. To discreet form and content, and then to stop content analytics is not his claim. He premises that form and content can be separated, and analyzes media on the technical forms. So, it can be a valuable try that meaning of camera shots is lighted on McLuhan’ idea. Suspenses caused by the stationary feature of frontal camera are possibly considered as immersive tension for narrative interpretation. However, on McLuhan’s idea, it can be a break for the flow of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the trigger for involvement of judgement deferment. We can see this as a clue for the trend that contemporary stories are gradually going toward having open structures, like McLuhan’s expectation about the future.

한국어

영화의 카메라가 피사체를 정면으로 잡는 쇼트들은 미학적 측면에서 두드러져 보인다. 그러나 이것이 단 순히 미학적인 독특함으로서만 그칠 수는 없다. 지각 된 차이는 언제나 상징적 사고를 동반한다. 이런 전 제 위에서 보면, 정면적 카메라 쇼트는 언제나 어느 정도의 서스펜스를 함의한다. 본고의 특이성은 이 내 용적 서스펜스의 효과를 모든 기술결정론의 대부라고 할 수 있는 마셜 맥루언의 미디어 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점일 것이다. 맥루언의 미디어 이론을 단순히 기술결정론적 이론 이라고 보는 것은 성급하다. 그는 단순히 미디어를 내용과 형식으로 구분한 후 내용 분석을 타파하자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형식과 내용을 엄밀히 구별할 수 없음을 전제하고 미디어를 기술 형식 중심 으로 분석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카메라 쇼트의 의미적 효과를 맥루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은 생 소하기는 하지만 가치 있는 시도라고 생각한다. 정면적 카메라의 정태성으로 유발되는 서스펜스는 일반적으로 서사해석의 몰입적 긴장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맥루언의 관점에서 보면 이는 해석의 관성을 끊는, 판단유보를 의미하는 관여의 단초가 된다. 이 는, 맥루언의 미래에 대한 예상처럼, 현대의 스토리가 점점 열린 구조를 가지는 트렌드를 보이고 있다는 점 에 대한 근거 중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1.2. 문제제기
2. 마셜 맥루언의 미디어 이론
2.1. 핫미디어와 쿨미디어
2.2. 기술결정론으로부터의 기호학적 사유
2.3. 해석과 관여
3. 쇼트 프레임의 정면성
3.1. 추상성과 평면성
3.2. 평면성과 정면성
3.3. 정면성의 효과
4. 정면적 카메라 쇼트의 기능
4.1. 차별적 양식화
4.2. 관여 효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용수 Lee, Yong Soo. 호서대학교 예체능대학 애니메이션학과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