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asic Formative Education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eaching Materials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
초록
영어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n=117)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applying basic formative education to teaching materials for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when basic formative education was applied to the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class textbook, it would be most effective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reativity, and it was recognized that it was most important to consider the degree of interest of the stud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creativity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and aesthetic sensibility development factors were significant in satisfy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with teaching materials for basic formative education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Finally, it was found that consideration of students' interest level and reflection of various artistic elements are important to the satisfac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eaching materials.
한국어
본 연구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 진하고자 창의적재량활동 수업교재에 기초조형교육 을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현직 중등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n=117)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등교원은 기초조형교 육이 창의적재량활동 수업교재에 적용될 경우, 학생 들의 창의성 발달에 가장 효과가 높을 것으로 인식 하고 있었다. 둘째, 중등교원은 수업교재개발에 있어 학생들의 흥미정도를 고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중등교원의 기초조형교육 창의적재량활동 수업교재 만족도에는 창의성발달, 사회성 발달, 미적감수성 증진이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창의성과 사회성 미 적감수성을 충분히 고려한 수업교재의 개발을 시사 했다. 넷째, 중등교원은 기초조형교육 창의적재량활 동 수업교재에 있어 학생들의 흥미정도의 고려와 다양한 미술적 요소반영 고려가 이들의 수업교재에 대 한 만족도 형성에 유의한 요인임이 밝혀져 향후 기 초조형교육 적용 창의적재량활동 수업교재 개발 시 학생들의 흥미정도와 다양한 미술적 요소들을 반영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창의성이 중요해지고 있는 오늘날 본 연구는 더욱 효과적인 창의적재량활동 운영에 있어 기초조형교육의 수업교 재 적용 및 활용방안에 관해, 일선교사를 중심으로 실증적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본론
2.1. 창의적 재량활동 교육
2.2. 기초조형교육
2.3. 표준화된 창의적 재량활동 교육 수업교재
3. 연구방법
3.1. 연구문제
3.2. 자료수집방법
3.3. 자료 분석
3.4. 측정도구 구성
3.5.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4. 연구 결과
4.1. 중등교원의 기초조형교육 수업교재 인식
4.2. 예측효과인식 및 고려사항이 새로운 창의적재량활동 수업교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검증
5. 결론
5.1.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5.2. 함의 및 시사점
5.3.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