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IT 기술인력의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 of IT workforce’s job autonomy on job crfting and job performance : Multi-group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고민정, 한주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Job Demands-Resources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basic mechanism of job crafting is applied equally to IT workforce. Further, we explored the rol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in job crafting mechanism.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 analyzed 501 IT workforce’s survey data from Chinese telecommunication enterprises. The results suggested as follows. First, job autonomy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mediated by job crafting. Second, the effect of job autonomy on job crafting was different among age groups. In the 20s, job autonomy had the smallest influence on job crafting, and in all other groups, job autonomy had a very strong influence on job crafting. Third,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observed among education level groups. Although job autonomy predicted job crafting very strongly in the low education level group,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job performance decreased relatively. Moreover, the direct effect of job autonomy on job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In the bachelor’s degre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n all paths between job autonomy,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In high education level group, job crafting did not predict job performance where 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job crafting existed. Fourth,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were observed among tenure level groups. In the 1-3 years of work experience group, job crafting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In contrast, in over 5 years of work experience group, job craft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job crafting is not effective for all employees within the purpose of improving job performanc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basic mechanism of job crafting is applied equally to IT workforce who has relatively high job demand and unique work consciousness. Also, this study provided development of enhanced theories of job crafting by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ven though Rudolph et al.(2017) tried to prove the rol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y were not able to identify the actual effect because they used a meta-analysis. This study, using empirical data, proved the clear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moderat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urther, focusing on the IT workforce of Chinese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this study provides a clear and specific basis for using of job crafting to the HR practitioners. Nevertheless, since we focused on specific workforce, it is required to be cautious for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Finally,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wit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한국어

본 연구는 직무자율성-잡크래프팅-직무성과로 이어지는 잡크래프팅의 작동 매커니즘이 IT 기술인력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 내에서 인구통계학적 변 수들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중국 5개 이동통신사 기술인력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직무자율성, 잡크래프팅, 직무성과 간 인 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IT 기술인력의 나이, 성별, 학력 및 근속연수에 따라 집단을 나눈 후 집단 간 직무자율성, 잡크래프팅, 직무성과 간 인과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 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자율성은 잡크래프팅을 매개하여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력은 나이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경우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작았으며, 20대를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잡크래 프팅에 대한 직무자율성의 영향력이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학력에 따른 집단 간에는 변수 간 모 든 영향관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대 이하 학력에서는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을 매우강하게 예측하였지만, 이에 비하여 잡크래프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고, 직무자율성이 직무성과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대졸 학력 집단에서는 직무자 율성, 잡크래프팅, 직무성과 간 모든 경로에서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이 상 학력 집단에서는 직무자율성이 높을수록 잡크래프팅과 직무성과가 높아지는 정(+)의 관계가 관찰되 었으나, 잡크래프팅이 직무성과를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넷째, 근무경력에 따른 집단 간에는 잡크래프팅 -직무성과 경로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경력이 1-3년인 집단에서 잡크래프팅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에서는 잡크래프팅 이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적 직무요구 수준이 높고, 남다른 직업적 의식을 가진 IT 기술인력에게도 직무자율성- 잡크래프팅-직무성과로 이어지는 잡크래프팅 작동 매커니즘이 동일하게 적용됨을 확인하였고, 잡크래프 팅 매커니즘에 영향을 미치는 나이, 성별, 학력 및 근속연수의 실제적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잡크래프팅 의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Rudolph 등(2017)의 연구에서도 이러한 시도가 있었으나, 이들은 선행연구를 활용한 메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변수 간 관계를 직접적으로 규 명하지 못하였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실증데이터를 활용하여 잡크래프팅과 인구통계학적 변수 간 관계 를 직접적으로 살펴보았기 때문에 더욱 실재적이고 명확한 변수 간 관계를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중국 내 이동통신 기업의 기술인력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잡크래프 팅을 활용한 인사관리 실무차원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을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잡크래프팅
2.2 직무자율성, 잡크래프팅, 직무성과간의 관계
2.3 잡크래프팅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Ⅲ.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조사도구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기술통계, 상관관계, 신뢰도 분석결과
4.2 Harman의 단일요인검증, 확인적요인분석 및 연구모형 검증
4.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다집단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고민정 Min Jeong Ko.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박사수료
  • 한주희 Juhee Hahn.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