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수출액 대비 소기업・중견기업・대기업의 수출액 변동률 : 중소기업의 현황과 발전 필요성

원문정보

Changes rate in Exports of Small, Medium and Large Enterprises compared to Korea Exports : SME Trends and Development Possibility

최수호, 김신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 accounted for 0.83% of large enterprises(805), 2.01% of medium-sized enterprises(1,940), and 97.14%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93,491) based on export enterprises in 2018. Based on the export amount in 2019, 64.22% of large enterprises($347,600million), 17.30% of medium-sized enterprises($ 93,659million), and 18.47%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99,969million) were represented. The total number of export items was 5.8, which was 49.3 for large enterprises, 30.2 for mid-sized enterprises and 4.9 for SMEs. As of 2019, the trade balance was $49.9billion for large enterprises, $15.2billion for medium-sized enterprises and $19.4billion for SMEs. SMEs recorded deficits because they had more imports than exports. The reason is mainly because raw materials are imported from abroad, processed, some are delivered to large companies and some are exported. SMEs need a protection policy at the level of the government and large companies, as foreign exchange losses can increase when the exchange rate rises. In this study, trends and change rates of total exports and exports of SMEs, medium-sized enterprises, and large enterprises were examined. And the future direction of each enterprises size was analyzed. To do this, we collected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Portal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nalysis period used a total of 132 monthly data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9. The change rate of exports used in this study represents the change rate compared to the same month of the previous year. The change rate and synchronism of total exports and exports of SMEs, mid-sized enterprises and large enterprise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total exports are high in the order of large enterprises(0.987),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0.750) and mid-sized enterprises(0.653).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ave a high relationship with total exports(0.750), large enterprises(0.681) and mid-sized enterprises( 0.277). As a result, it seemed that SMEs and mid-sized enterprises had littl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t is a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total export is a dependent variable and SMEs, mid-sized enterprises and large enterprises are independent variables. Coefficient came out with a high positive value in the order of large enterpris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large enterpris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value(≦ 0.01) and t statistics. As the adjusted R-squared is calculated as 0.999, the change rate in the total export of dependent variables is judged to be 99.9% explanatory. And Durbin-Watson stat was calculated as 1.706, which means that each variable is independent of each other. As of January 2009(=100), the growth rate analysis was highest in the order of medium-sized companies (227%), large companies(219%), total exports(216%) and SMEs(200%). As the growth rate of SMEs is relatively small, it seems that we need a lot of attention in the future. In the analysis of the change rate, large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slightly larger th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owever, the movements of each indicator are similar in general. In 2019, it was around the previous low of -15% after 2013 and 2016. Therefore, each indicator shows the possibility of a rebound after 2020. In the distribution chart, all the indicators are all concentrated on the left side and have a long tail on the right sid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howed relatively high frequency in a small distribution compared to large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scatter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the total exports and large enterprises are almost upward in a straight line. Therefore, the total export and the large enterprises showed the highest synchronizati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also generally upward-looking, but seemed to be relatively inferior to large enterprises. In the Quantiles-Quantiles analysis, the points(◦) of all indicators are generally moving close to the baseline. However, these indicators show a large deviation from the top and bottom, indicating that many abnormal spikes occurred. In the box plot analysis, the change rate is distributed between -20% and +40% as a whole. Howeve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ave a relatively small change rate, and large enterprises have a large change rate. In response to the shock of the previous year, the impact of large enterprises to total exports, medium-sized enterprises to total exports and SMEs to total exports also occurred.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of medium-sized companies to SMEs was weak. The status of SMEs in Korea is mainly step-by-step economic structure led by large companies, and has shown vertical subcontracting relationships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Es. Large enterprises have tended to burde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n management risks caused by fluctuations in exchange rates, oil prices, and raw materials depending on economic conditions. In order to make the domestic economic environment health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negotiating power of SMEs and build an SME-based economic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SMEs’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move beyond the domestic market of excessive competition system and advance into overseas markets. In order to make the domestic economic environment health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negotiating power of SMEs and build an SME-based economic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SMEs’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move beyond the domestic market of excessive competition system and advance into overseas markets. We need to change from a domestic zero-sum game to an overseas positive-sum game to pioneer a new market and grow into a competitive midsize company. To this end, various policies should be supported at the government level.

한국어

우리나라는 2018년도 수출기업을 기준으로 대기업은 805개로 0.83%, 중견기업은 1,940개로 2.01%, 중소기업은 93,491개로 97.14%를 차지하고 있다. 2019년도 수출액을 기준으로 대기업은 347,600 백만 달러로 64.22%, 중견기업은 93,659백만 달러로 17.30%, 중소기업은 99,969백만 달러로 18.47%를 나 타내고 있다. 수출품목수의 평균은 대기업 49.3개, 중견기업 30.2개, 중소기업 4.9개이고 총 평균은 5.8개 로 산출되었다. 무역수지는 2019년도 기준으로 대기업 499억 달러, 중견기업 152억 달러, 중소기업 -194억 달러를 기 록하였다. 중소기업은 수출보다 수입이 많아 적자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해외에서 원료를 수입하여 가공 후 일부는 대기업에 납품하고 일부는 수출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소기업의 경우 수입 비중이 더 크게 나타나 환율상승 시 외환 손실이 커질 수 있으므로 정부와 대기업 차원에서 보호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총수출액과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의 수출액 동향과 변동률을 살펴보고 향 후 진행 방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기간은 2009 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총 132개 월간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출액의 변동률은 전년도 동월대비 변동률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 수출액과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수출액의 변동률과 동조화현상 등을 서로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상관관계에서 한국 수출액의 경우 대기업(0.987), 중소기업(0.750), 중견기업(0.653) 순으로 높 은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중소기업은 한국수출(0.750), 대기업(0.681), 중견기업(0.277) 순으로 높은 관계 를 보이고 있어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은 서로 관계가 낮은 것으로 보였다. 한국수출이 종속변수이고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수출이 독립변수인 회귀분석에서 Coefficient가 대기업, 중소기업, 중견기업 순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독립변수인 대기업, 중소기업, 중견기업이 모 두 p-value(≦0.01)와 t통계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산출되었다. Adjusted R-squared가 0.999로 산 출되어 종속변수 총수출의 변동률이 99.9%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Durbin-Watson stat가 1.706으로 산출되어 각 변수들이 서로 독립적인 시장을 의미하고 있다. 상승률 분석에서 지난 2009년 1월을 기준(=100)으로 중견기업(227%), 대기업(219%), 한국수출(216%), 중소기업(20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 있어 향후 많은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변동률 분석에서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폭 크게 나 타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유사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어, 지난 2013년과 2016년에 이어 2019년에 직전 저점인 -15% 전후를 기록하고 있어 2020년도 이후 반등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분포도에서 한국수출과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수출이 모두 좌측에 밀집되면서 우측에 긴 꼬리를 나타내고 있다.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대기업과 중견기업에 비해 작은 분포도에서 높은 빈도수를 보여 주었다. Scatter 분석에서 한국수출과 대기업 수출의 분포도가 거의 일직선에 가까이 우상향하고 있어 가장 높은 동조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수출과 중소기업 수출 그리고 한국수출과 중견기업 수출은 대체로 우상향하고 있으나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동행성이 낮아 보였다. Quantiles-Quantiles 분석에서 한국수출과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수출의 타점들이 기준선에 근접 하여 움직이고 있으나 상단과 하단에서 크게 벗어나는 모습을 보여 이상급등락현상이 다수 발생하였다. Box Plot 분석에서 변동률이 전체적으로 -20%와 +40% 사이에 분포되어 있으나 상대적으로 중소기업은 적은 변동률을 보이고 대기업은 큰 변동률을 보여주었다. 전년도 동월대비 충격도 반응에서 대기업 to 한국수출, 중견기업 to 한국수출, 중소기업 to 한국수출의 충격이 크게 발생한 반면 중견기업 to 중소기 업의 충격은 약하게 발생하였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현황은 주로 대기업 주도의 계단식 경제구조로써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수직하청 관계를 보이고 있다. 경제상황에 따라 환율 및 유가, 원자재가 변동에 따른 경영위험을 대기업은 중소기 업에 부담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향후 국내 경제 환경을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협상력 을 향상시켜 중소기업 기반의 경제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의 발전 방향으로는 과다경 쟁체제의 내수시장에서 벗어나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국내 Zero-sum 게임에서 해외 Positive-sum 게임으로 전환하여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경쟁력 있는 중견기업으로 성장해야 하고 이 에 따른 정책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2.1 중소기업 수출활성화를 위한 지원 정책
2.2 중소기업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자료수집 및 중소기업・중견기업・대기업의 수출 동향
3.1 자료수집
3.2 중소기업・중견기업・대기업의 동향
Ⅳ. 실증분석
4.1 수치분석
4.2 지표분석
4.3 모형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최수호 Soo Ho, Choi. 동양미래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김신중 Shin Joong, Kim. 대진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