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7세기 『大方廣佛華嚴經疏』의 간행과 승려문파 - 삭녕 용복사본과 순천 송광사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ublication of Daebanggwangbul-Hwaeomgyeongso and Monk Clans in the 17th Century - With a focus on the editions of Yongboksa Temple in Saknyeong and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

17세기 『대방광불화엄경소』의 간행과 승려문파 - 삭녕 용복사본과 순천 송광사본을 중심으로 -

김단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background of Daebanggwangbul-hwaeomgyeongso, published at Yongboksa Temple in Saknyeong and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in the 17th century. Daebanggwangbul-hwaeomgyeongso is a collection of 120 Buddhist books based on the collection and editing of Avatamsaka Sutra and the annotations of chéngguān (澄觀, 738-839) by jìngyuán (淨源, 1011-1088). Since its introduction during Goryeo, it was published many times into the 17th century. Especially in 17th century, It was published at Yongboksa Temple in Saknyeong and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with a two-year interval between them. The editions of Daebanggwangbul-hwaeomgyeongso published at Yongboksa Temple in Saknyeong and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are different forms as each line has an end mark. However, their content is not that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ontent of the Daebanggwangbul-hwaeomgyeongso editions published before. A closer look at the records about the publication of the two editions shows that the participants in publishing the edition at Yongboksa Temple in Saknyeong and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were associated with the Cheongheo and Buhyu Clan, respective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onk clans had huge impacts on the publication of Daebanggwangbul-hwaeomgyeongso in the 17th century.

한국어

이 연구는 17세기에 간행된 삭녕 용복사본과 순천 송광사본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의 간행 배경 을 살펴본 연구이다. 『대방광불화엄경소』는 정원(淨源, 1011-1088)이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과 징관(澄 觀, 738-839)의 주석을 회편한 120권 분량의 불서이다. 고려시대 전래된 이래로 17세기까지 여러 차례 간행되었는데 특히 17세기에는 삭녕 용복사와 순천 송광사에서 2년 차이로 간행되었다. 삭녕 용복사본과 순천 송광사본 『대방광불 화엄경소』는 형태적으로는 계선의 차이가 있지만, 원문 내용에서는 이전 시기의 『대방광불화엄경소』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두 판본의 간행 관련 기록을 살펴보면 간행 참여자들이 각각 삭녕 용복사본은 청허문파, 순천 송광사본 은 부휴문파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서 17세기 『대방광불화엄경소』 간행에는 승려문파라는 요소가 크게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17세기에 간행된 『대방광불화엄경소』
3. 삭녕 용복사본과 순천 송광사본 분석
4. 17세기 간행 『대방광불화엄경소』와 승려문파의 관계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단일 Kim, Dan-Il.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전공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