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황명통기」 수록 곡필의 변무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quest to Revise Errors of Errors in the Hwangmyungtonggi

김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wangmyungtonggi chronicles the history of the Ming Dynasty focusing on “Gyungseron” and was re-published several times. It is a historical text with a wide readership, such that posterity added new content and revised the text in varying degrees. But there existed errors on Joseon’s history in the revised book. In particular, its errors on King Injo’s Restoration was a serious problem, sufficient to blemish the legitimacy of the dynasty. Joseon took this matter seriously and asked China to revise the errors several times, and China eventually revised them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Hence, this paper seeks to study the process of revision and the outcomes of this process using textual bibliography and history of historiography. Through these,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at Joseon’s desperate effort for correction was not simply a revision of errors in the historical record, but the manifestation of a neo-confucianist historical awareness.

한국어

「황명통기」는 경세론에 중점을 둔 명사(明史)로서 여러 차례 중간(重刊)되었으며, 후학에 의해 다양한 증보가 이루어질 만큼 널리 읽힌 사서(史書)이다. 그러나 「황명통기」의 증보본에는 조선의 역사에 대한 잘못된 서술이 존재하였으며 특히 인조반정에 대한 곡필은 왕조의 정통성에 흠집을 낼 만큼 중대한 문제였다. 조선에서는 이를 민감하게 받아들여 누차 중국에 변무의 뜻을 전하였으며, 마침내 영조 때 이르러 비로소 그를 바로잡을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황명통기」의 증보본에 실린 곡필을 변무하는 과정과 그 결과에 대하여 원문서지학적․ 사학사적 방법으로써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에서 필사적으로 곡필에 대하여 변무하고자 한 것은 단순히 사서의 오류 수정이 아닌 성리학적 역사의식의 발로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황명통기」 판본 고찰
3. 곡필에 대한 변무의 사례
4. 「황명통기」 수록 곡필의 수정
5. 곡필 변무의 의의
6.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대경 Kim, Dae-Gyeong.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