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후기 同鄕契會帖과 『三淸洞道會圖帖』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onghyang-Gyehoecheop and SamcheongdongDohoedocheop in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 후기 동향결회첩과 『삼청동도회도첩』에 관한 연구

최경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the Donghyang-Gyehoecheop (the brochures to commemorate a fraternity association gathering of officials from the same region) focusing on the SamcheongdongDohoedocheop, in Choseon dynasty. There were 7 kinds 22 items of Donghyang-Gyehoecheop from 1589 to 1656 in the manner of the original, copy, or inclusion in the literature. SamcheongdongDohoedocheop was made after officials held a meeting to celebrate successful candidates from Gyeongsang-do passed the Samashi in 1654. The background of the meetings were for friendship, but there were also specific reasons, such as the welcome of those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s. The Gyehoecheop were produced by selecting one of the participants of the meeting, and the cost was shared by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hometowns were mainly villages around the Nakdonggang River. Fathers, sons, and brothers attended the meeting for generations, certain families have taken the lead in the gathering.

한국어

이 연구는 조선시대 同鄕 출신 관원들의 모임을 기념하기 위하여 제작된 동향계회첩의 현황과 제작배경, 전존방식 등에 대하여 『三淸洞道會圖帖』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동향계회첩은 1598년의 『七松亭契會圖』 부터 1656년의 『終南同道會題名錄』까지 주로 17세기를 중심으로 원본, 모사본, 문헌 편입의 방식으로 전존본 7종 22점이 조사되었다. 『三淸洞道會圖帖』은 영남 출신 관원들이 사마시 합격 동향 출신을 축하하기 위한 삼청동에서의 모임 후에 제작된 것이다. 同鄕契會의 배경은 동향 간 친목을 위한 것이었으나, 과거 합격자 환영 등 직접적인 배경도 확인되었다. 계회첩의 제작은 모임 참석자 1인을 선정하여 맡겼고, 비용은 참석자가 공동 분담하였다. 참석자는 문관 5품 이하 실무자급 관원 중심이며, 출신지는 고령과 영주 사이의 낙동강 주변 고을이 많았으며, 父子․형제가 대를 이어 참석하여 특정 가문이 同道會를 주도해 가는 현상을 보였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契會帖의 제작과 同鄕契會帖
2.1 契會帖의 제작
2.2 계회도 수록 同鄕契會帖
2.3 계회도 미수록 同鄕契會帖
3. 『三淸洞道會圖帖』의 제작과 내용
3.1 전존본 현황
3.2 제작과 전승
3.3 수록 내용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경훈 Choi, kyung-hun.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고문헌 사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