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후기 科文의 실제에 관한 일고찰 − 『東儷文』과 『儷林』에 수록된 科表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ality of Questions for Gwageo Examin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Standard of Assessment in Dongryeomun and Ryeorim

조선 후기 과문의 실제에 관한 일고찰 − 『동려문』과 『려림』에 수록된 과표를 중심으로 −

박선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s and reality of works that were considered examples in the Standard of Assessment in the late Joseon period, with writers and works included in the Question Collection for Gwageo Examination, Dongryeomun and Ryeorim,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writers listed in Dongryeomun and Ryeorim were famous among examinees learning Questions for Gwageo Examination at the time, and among them, two books contained relatively large amounts of works, including the works of Lee Il-Je (1683-1757). Yoo Dong-Bin(1720∼?), Park Don-Sang(1728∼?), Kwon Gyeong(1708∼unknown), and Yoon Ji-Tae(1700∼?). In terms of their weight, the works of authors in both books were frequently talked about among examinees at the time, and in the course of the Questions for Gwageo Examination study, it can be guessed that they were works that were considered examples of studies. Focusing on these facts, the standard of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Hansinsabong hoeeumhu」 by Lee Il-Je (1683-1757) and 「Hangunsinhachuisosanchobyeong」 by Yoo Dong-Bin (1720-?) among the authors and works included in both Dongryeomun and Ryeorim. Based on the criticism mentioned by Lee Gyu-Sang (1727~1797) in Byungsejeeonrok 「Gwamunrok」, the form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nd for what reason these works were highly evaluated at the time. Both of these works followed the formal standard of assessment in terms of formality, but in certain passages, they were able to find traces of attempting to change from the formalities. In terms of content, the subject was well implemented by utilizing the idiom based on the Title of Examination in the right place, and the literary nature of the work was pursued through rhetoric and expression that reveal the artist's personality. From Lee Gyu-Sang's point of view, how well the idiom based on the Title of Examination was grasped and utilized in terms of contents rather than formal aspects such as consideration of antithesis and management of tonal patterns, and appropriate investigation. Whether or not they were using expressions was an important evaluation factor of the work.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practical case showing that formal aspects, including tonal patterns and antithesis, which were previously considered as the main evaluation elements of the Questions for Gwageo Examination, did not act as an absolute criterion for evaluating the level of the Standard of assessment.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and analyzing the reality and its aspects of the standard of assessment, and has a limitation that it does not present various data of various writers who criticized the Questions for Gwageo Examination as an example. Since the author reviewed related materials, it is expected that if these materials are continuously discovered in the future, it will be a starting point to discuss both the contents and literary elements of Questions for Gwageo Examination, which remained only in formal discussions.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 후기에 편찬된 科文選集인 『東儷文』과 『儷林』에 수록된 작가와 작품들을 대상으로 조선 후기 科表에서 典範으로 활용되었던 작품들의 양상과 그 실제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東儷文』과 『儷林』에 수록된 작가들은 당시 科文을 학습하는 응시자들 사이에서 명성이 있었던 인물이었으며, 그 가운데 두 책에 비교적 많은 분량의 작품이 수록된 작가들로는 李日躋(1683∼1757)를 비롯한 柳東賓(1720∼미상), 朴道翔( 1728∼미상), 權絅(1708∼미상), 尹志泰(1700∼미상) 등을 꼽을 수 있다. 두 책에 모두 수록된 작가들의 작품은 그 비중으로 볼 때, 당대 응시자들 사이에서 자주 회자되었으며 科文 학습의 과정에서 습작의 典範으로 여겨졌던 작품들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東儷文』과 『儷林』에 모두 수록된 작가와 작품 가운데 李日躋(1683∼1757)의 「韓信謝封淮陰侯」와 柳東賓(1720∼미상)의 「漢群臣賀吹簫散楚兵」을 대상으로 科表의 형식적 특징을 살피고, 李圭象(1727∼1797)이 『幷世才彦錄󰡕 「科文錄」에서 해당 작가와 작품에 대해 비평한 내용을 근거로 해당 작품들이 어떤 이유로 당대에 높은 평가를 받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작품 모두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科表의 정식을 준수하면서도 특정 구절에서는 정식을 탈피하여 변격을 시도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試題가 의거하고 있는 故事를 적재적소에 잘 활용하면서 주제를 잘 구현하였고, 작가의 개성을 드러내는 수사와 표현을 통해 작품의 문학성을 추구하였다. 이규상의 입장에서 보자면 대우와 평측의 운용 등 형식적인 측면보다는 내용적인 면에서 試題가 의거하고 있는 故事를 얼마나 잘 파악하고 활용하여 주제를 잘 구현하고 있는지, 또 적절한 수사와 표현을 구사하고 있는지가 작품의 중요한 평가요소였다. 이는 평측과 대우를 비롯한 형식적인 측면이 科表의 수준을 평가하는 절대적인 기준으로 작용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실제적인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본고에서는 科表의 실제와 그 양상을 살펴보고 분석하는데 치중하여 당대에 科文에 대해 비평을 남긴 여러 문인들의 다양한 자료들을 실례로 제시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필자는 이와 관계된 자료들을 검토 중에 있기에 추후 이러한 자료들이 지속적으로 발굴된다면 형식적인 측면에 집중되어 논의되었던 科文의 내용적인 측면과 문학적인 요소를 아울러 논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며
Ⅱ. 『東儷文』과『儷林』소재 인물 및 작품 개관
Ⅲ. 『東儷文』과 『儷林』에 수록된 科表의 실제 양상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선이 Park, Seon-yi.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 전공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