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만청 공안소설의 서사 변화 고찰-『이공안기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Narrative Variation of Gong’an Novel in Late Qing Dynasty-Focusing on Li gong'an qiwen

김규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late Qing Dynasty, the Qing dynasty was rapidly collapsed due to the continued invasion of Western powers. The intellectuals, who tried to overcome this chaotic situation, imported Western culture indiscriminately and began to learn it. In this process, Western literature, including novels, also flowed in, and over time, what only the intellectuals enjoyed changed to what many people enjoyed. For 20 years between 1890〜1910 among Late Qing Dynasty period, over 1,000 novels including translated works and creative works had been published, and many magazines and newspapers had been issued, which became the ground for publication of novel.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se novels was an irreversible trend in traditional Chinese novel world. Gong'an novels were also at the crossroads of survival and abolition as Western detailed novels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and to overcome this, efforts were made to create works by adopting the narrative techniques of detective novel. Among them, Li Gong'an Chiwen by Xihongjushi is evaluated as a work with transitional form of these attempts.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the narrative of Gong'an novel created at the end of Qing Dynasty, and its cause, and tries to confirm how it was actually applied through this work. The first half of Li gong'an qiwen plays a kind of 'prequel'. In the second half, when the protagonist Lichijun was dispatched as Jinghai Xianling, a Gong'an novel in the traditional sense begins. The protagonist’s investigating the case as a general public without any government post in the first half looks like a role of detective in the detective novel. Therefore, it emphasizes more the logic of investigating and solving cases with wisdom rather than the compulsory means used in traditional Gong'an novels due to the limitation of authority caused from this. Furthermore, it is said to be similar with detective novel as unrealistic elements such as dreams, prophecies, and ghosts are limited. Of course, these features are limited to the first half of the work, and it is true that they showed a great deal of difference compared to the modern sense of detailed novel. However, it certainly differed from the traditional Gong'an novel's narrative and must have been a new attempt in literary history.

한국어

청 말기에 이르러 서구열강의 계속되는 침략 때문에 청 왕조는 급속도로 붕괴하고 있었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을 극복하고자 노력했던 지식인들은 서구의 문물을 가리지 않고 수입하여 이를 배우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소설을 비롯한 서양의 문학 또한 유입되었고, 시간이 지나 지식인층만이 향유하던 것이 점차 많은 사람이 즐기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만청시기 중 1890〜1910년 사이의 20여 년간 번역작품과 창작작품을 포함하여 1천 편 이상의 소설이 발간되었고, 많은 수의 잡지와 신문들이 함께 간행되어 소설을 실을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이러한 소설의 양적 성장은 전통적인 중국 소설계에 있어 거스를 수 없는 흐름과 같은 것이었다. 공안소설 또한 서양의 탐정소설이 번역·출간됨에 따라 존폐의 갈림길에 서게 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탐정소설의 서사 기법을 채용하여 작품을 창작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었다. 이중, 석홍거사의 『이공안기문』은 이러한 시도의 과도기적 형태를 띤 작품이라 평가받는다. 본고는 우선 청 말기에 창작된 공안소설의 서사가 변화되는 과정과 그 원인을 살펴보고, 이 작품을 통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공안기문』의 전반부는 일종의 ‘프리퀄(prequel)’과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후반부에 주인공 이지균이 정해 현령으로 부임하면서 전통적인 의미의 공안소설이 시작되는데, 전반부는 주인공이 아무런 벼슬도 없는 일반인 신분으로 사건을 조사하는 것이 탐정소설의 탐정과 같은 입장처럼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생기는 권한의 제약으로 인해 전통적인 공안소설에서 쓰이는 강제적인 수단보다는 지혜로 사건을 조사하고 해결하는 논리성이 보다 강조된다. 더군다나 꿈이나 예언, 귀신과 같은 비현실적 요소가 제한되어 있어 탐정소설과 비슷하다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특징은 작품 전반부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현대적 의미의 탐정소설과 비교했을 때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공안소설의 서사와는 분명 차이가 있으며 문학사적으로 새로운 시도였음은 틀림없다.

목차

국문요약
1. 들어가는 말
2. 만청 공안소설 서사의 변화의 원인과 그 양상
3. 『이공안기문』 전반부 서사의 프리퀄적 특성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규태 Kim, Kyutae. 제주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