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참여 대학생의 캠퍼스 순찰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oluntary Campus Patrol

김성환, 이준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ny universities operate a voluntary campus patrol as the demand for policing increases due to the frequent occurrence of sexual violence and violent crime around a college t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ampus patrol activity through which it offers the policy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campus patrol. For this study, D univeristy campus patrol team consisted of 73 college students (34 college stud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39 college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was selected to compare the mean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patrol activity with regard to the community awareness, fear of crime, awareness of the commuinty policing,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n terms of community awareness, fear of crime, awareness of the community policing,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community awareness, awareness of the community policing,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variables before participating in campus patrol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ose variables after th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mpus patrol experience on the incomplete campus patrol has the negative effects on the major variables. The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formal campus patrol activities.

한국어

캠퍼스 순찰대는 대학가를 대상으로 성폭력 및 강력사건 발생 등 치안수요가 증가 하면서 다수의 대학에서 활발히 진행 중인 시민순찰활동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캠퍼스 순찰대 활동의 효과성 중 참여 대학생에 대한 효과성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자 한다. 이를 통해 캠퍼스 순찰대 효과성에 대한 기초자료 및 정책적 제언을 제공하고 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D대학 캠퍼스 순찰대를 선정하고 73명의 대학생(실험군 34 명과 통제군 39명)을 대상으로 문헌검토를 통해 도출된 지역사회 의식, 범죄두려움, 지 역사회 경찰활동 인식, 경찰신뢰에 대한 13주간에 걸친 캠퍼스 순찰활동 전과 후의 차 이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실험 전과 후의 지역사회 의식, 범죄 두려움, 지역사회 경찰활동, 경찰신뢰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 하지만 실험군에서 활동 후 지역사회 의식, 지역사회 경찰활동 인식, 경찰신뢰도 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 전 실험군과 통제군의 각 변수들 차이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활동 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형식적이고 불만족한 시민순찰활동은 긍정적 효과보다는 오히려 부정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캠퍼스 순찰대를 비롯한 시민순찰활동이 그 구성과 내용에서 경찰과의 실질적 협력을 통해 구성되고 관리되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환 Kim, Sung-Hwan. 동국대학교(경주) 행정·경찰공공학부 조교수
  • 이준호 Lee, Jun-Ho. 동국대학교(경주) 행정·경찰공공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