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 예비교사들의 학습문화 형성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원문정보

A Native Ethnography on the Formation of Learning Culture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김재윤, 이동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qualitatively light on the learning cultur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the insider's point of view, through a self-study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was a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This study applied native ethnography to accomplish this purpose, and significant topics were derived from qualitative data collected using the pragmatic eclecticism, and final writing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the initial period represented the learning culture of lightening or detachment from learning, establishing their ideology as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continuation and reproduction of interpellation. Secondly,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the middle period represented an autonomous learning culture in which they sought to find alternatives to elementary teacher preparation education amid a dual focus of acquisition and criticism of academic hegemony. Thirdl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the latter period revealed the learning culture that was colonized by the evaluation system calle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 Korea as well as the theoretical and policy basis for promoting its substantialization and qualitative enhancement.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였던 현장교사의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4년이라는 시간적 경과에 따라 나타내었던 학습문화를 비판적 관점에서 기술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문 화기술지 연구방법에 기초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실용적 절충주의에 근거한 포괄적 주제 분석을 통해 범주와 하위범주를 생성하였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학습문화에 대한 연구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창기 학습문화는 호명(interpellation)의 연속과 재생산을 통하여 예비교사로서의 이데올로기를 구성하였고, ‘학문과 거리두기’ 혹은 ‘예비교사 로서 가벼워지기’라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둘째, 중반기 학습문화는 예비교사들이 학문적 헤 게모니(hegemony)에 대한 체득과 비판을 통해 초등교원양성교육의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자율적인 학습문화를 드러내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후반기 학습문화는 임용시험이라는 국 가수준 교원평가 체제로 인하여 식민화된 학습문화를 재현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교 사의 맥락에서 우리나라 초등교원양성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그것의 내실화와 질적 제고 를 위한 연구 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예비교사의 삶과 이데올로기 재생산
2. 초등 예비교사의 학습문화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1. 연구의 배경 및 대상: 문화적 자아로서의 ‘나’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 타당도 확보
Ⅳ. 연구결과
1. 생존과 적응을 위한 사회화 전략: 초창기 학습문화
2. 학문적 헤게모니에 대한 비판: 중반기 학습문화
3. 평가방식으로 식민화된 생활세계: 후반기 학습문화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재윤 Jaeyun Kim. 전주교육대학교
  • 이동성 Dongsung Lee. 전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