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 및 참여요인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원문정보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of Attributes and Participation Factor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김하정, 원효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rticipation factors and attributes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o achieve it, a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 which can synthesize and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that revealed various features was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ilitating factor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categorized into individual, learning organization(community), school and education factors. The attribute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cluded ‘value and vision sharing’, ‘emphasis on student learning’, ‘voluntary action’, ‘emotional ties and sense of belonging’, ‘collaborative group exploration’, ‘practice and sharing through reflective conversation’, ‘administrative support environments’, ‘supportive and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and ‘the culture of trust and respect’. Among them, ‘collaborative group exploration, teache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and the culture of trust and respect’ appeared in all cases. In detail, it was found that the culture of trust and respect, administrative support environments, emotional ties and sense of belonging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participate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characteristics of driving force, interest, participation degree, and spontaneity were found in individual factors, which were derived five participation typ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reformer type', 'activist type', 'real profit seeking type', 'crowd mind type', and 'bystander type'. Whe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shares values and visions in an administrative and policy support environment and emotional ties and sense of belonging based on a school culture of trust and respect, qualitative realization of the collaborative group exploration, the practice and sharing through reflective conversation, the improving student learning, and the teache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based on the voluntary action and the shared leadership becomes possible.

한국어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 및 발달과정에서 드러나는 참여요인과 속성을 밝혀 현장 활용 및 정책 대안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다양한 특징이 드러난 질적 연구물을 종합하여 분석‧해석하는 질적 메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학습공동체의 촉진요인은 개인, 학습조직(공동체), 학교 및 교육청 차원의 요인들로 구분되었으며,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은 가치와 비전 공유, 학생 학습에 중점, 자발 적 활동의지, 정서적 유대감‧소속감, 협력적 집단 탐구, 반성적 대화를 통한 실천 및 공유, 물 적‧인적‧행정적 지원환경, 지원적‧분산적 리더십, 교사전문성 함양, 신뢰와 존중이 추출되었 다. 그 중 협력적 집단 탐구, 교사 전문성 함양, 신뢰와 존중 속성이 모든 사례에서 나타났으 며, 세부적으로는 신뢰와 존중의 문화, 물적‧인적‧행정적 지원환경, 정서적 유대감 및 소속감 순으로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차원의 요인을 분 석한 결과 추진력, 관심도, 참여도, 자발성에 따른 특성을 발견하여 ‘개혁가형’, ‘활동가형’, ‘실 리추구형’, ‘군중심리형’, ‘방관자형’의 5가지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유형이 도출되었다. 신뢰와 존중의 학교문화 속에서 형성된 정서적 유대감 및 소속감은 교사 개인의 문제의식 과 비전을 공유하고 협력적 집단탐구와 반성적 대화를 통한 자발적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었 으며, 이는 학생학습의 개선과 교사전문성 함양의 질적 실현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또한 몇 몇 교사 주도의 학습공동체가 학교장의 리더십과 행정적, 물적 지원을 바탕으로 학교 전체가 연구하고 학습하는 ‘공유된 리더십의 학교공동체’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 및 특성
2.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Ⅲ. 자료수집 및 분석
1. 분석 대상
2. 분석절차 및 문헌선정
3. 연구 분석틀 선정
Ⅳ. 연구결과
1.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 분석
2.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요인 및 관련 속성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하정 Kim Ha-Jeong. 부경대학교 박사수료
  • 원효헌 Won Hyo-Heon. 부경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