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문대학 비서과 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원문정보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relation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maj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tudies

조현정, 서보람, 이현민

피인용수 : 4(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maj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major .of college students in secretarial studies. To this end, SPSS 23.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verified, and sobel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rder of tooling activities,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and practical effor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satisfaction in major, the static influence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y and tool construction activity.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confirmed in practical effor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major satisfaction, the static effects were confirmed in the order of future resolution, goal selection, and problem solving.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major,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major among college secretary students. Secretarial students have a high will to work, and ne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nd education related to employment. Als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ust be dealt with importantly in order to increase satisfaction in major.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ay much attention to students'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by increasing their self-efficacy in order to help them decide, plan, and do well. Lastly, in order to increas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fforts such as continuously providing the latest information related to majors and employment, also providing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latest trends of the company are necessar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비서과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진로준 비행동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변인 간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매개변인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여 매개효 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도구구비활동, 정보수집활동, 실천적 노력의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진로준비행동이 전공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의 순으로 정적인 영향이 확인되었고, 실천 적 노력은 유의미한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미래해결, 목표선택, 문제해결의 순으로 정적인 영향이 확인되었다.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만족 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전문대학 비서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중요하며, 비서과 학생들은 특히 취업에 관한 의지가 높아 취업과 관련한 실질적인 정보와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 는데 특히 학생들이 스스로 진로행동의 방향을 결정하고, 계획하고, 잘할 수 있도록 믿음으로서 진로결 정자기효능감을 높여 이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데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진 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전공 및 취업 관련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시하 고, 교과 및 비교과 활동을 기업의 최신 트렌드에 맞게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전문대학 및 전문대학 비서학과
2.2 진로준비행동
2.3 전공만족도
2.4 진로결정자기효능감
2.5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만족도의 관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2.6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대상
3.4 측정도구
3.5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4.1 측정변인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4.2 가설검증결과
4.3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조현정 Hyun-jung Cho. 신안산대학교 사무비서행정학과 조교수
  • 서보람 Boram Seo. 안산대학교 항공비서사무과 겸임교수
  • 이현민 Hyunmin Lee.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객원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김경수(2006), 유럽의 마스터제도를 도입한 문학 직업교육 연계, 교육인적자원부.
  • 2김봉환(1997), 大學生의 進路決定水準과 進路準備行動의 發達및 二次元的類型化.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3김선중(2005),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 4김혜주(2007).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몰입경험이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 5김흥수(2007), 지방사립 전문대학의 구조조정 장애요인과 방안에 대한 인식분석,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6남중수(2010),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개인 심리특성 변인, 대학생활 특성변인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학교 대학원.
  • 7박대성(2014),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지, 12(10), 415-423.
  • 8박지연ㆍ조경덕(2019).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32(1), 61-76.
  • 9박지은(2005),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 10배병렬(2015), SPSS/AMOS/LISREL/SmartPLS에 의한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분석, 서울: 도서출판 청람.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