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근대 비문자 대중매체와 한국무용 : 1930-1960년대 유성기음반과 영화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Korean Dance and Non-textual Mass Media : Focusing on Contemporary Sound Recordings and Films, 1930-1960

석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ocultural and artistical interrelations between the "Korean Dance" and two of the most popular non-textual forms of mass media - commercial sound recordings (gramophone records) and films (feature films, newsreels, documentaries) - between the 1930s and 1960s. First, this study focuses on how gramophone records were employed through the Korean dance recitals during this period, as well as on what type of music was used in these recitals. Second, this paper examines the films documenting "Korean Dance" shot and produced during the time period in question, and discusses how these films were produced and how it has impacted establishing the "Korean Dance" through its mass distribution. By doing so,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 preliminary suggestion on how the "Korean Dance" has made its transitions over time, as well as an opportunity to historically understand the actual manifestation of "Korean dance" during its earlier days of a modern form of performing arts. It can be strongly argued that a strong sense of a historical parallel is revealed between the historic development of the Korean Da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 and the development of the notion of Korean national culture, as both came into their modern manifestation through a series of constant interactions between Korean premodern cultures and the modern foreign cultures.

한국어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이후 1960년대까지 한국에서 유통, 기획, 생산된 근대 비문자(非文字, non-textual) 대중매체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파급력과 보급이 높았던 유성기음반(gramophone records)과 영화(film), 그리고 ‘한국무용의 관계를 현존하는 자료 위주로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1930 년대 이후 1960년대까지 한국에서 열렸던 각종 무용 공연에서의 유성기음반의 사용 상황과 실제 사용 된 음반들의 내용을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근・현대 ‘한국무용에서 ‘민족’ 및 ‘향토성’의 문제의식과 함 께 점차 변화한 ‘한국 춤’의 무용음악 문제를 시론의 형태로 검토하고자 한다. 다음으로는 1930년대 이후 한국에서의 신무용 정립 과정에서 제작된 다양한 영화 (극영화, 기록영화, 문화영화) 등의 제작 과정과 그 내용을 역사적인 시각에서 살펴보고, 이들 영화가 당시 신무용의 정립과 대중적 보급에 어떠 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간단히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20세기 이후 근현대의 격변을 거치며 정립된 한국무용의 변천상을 돌아보는 한편, ‘원형’ 혹은 ‘전통’의 논쟁에서 벗어나, 근현대 무대예술로서 정립 되어갔던 한국 신무용 또는 한국무용의 역사적 실체를 기록매체를 통해 접근해보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유성기음반과 한국무용
1. 유성기음반을 활용한 무용 반주음악
2. 근대 한국무용가들과 이들의 음반관련 활동
Ⅲ. 영화 및 기록영상 속의 한국무용
1. 20세기 전반 기록영상 속의 한국무용
2. 근・현대 한국무용과 극영화・문화영화
Ⅳ.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석지훈 Suk, Jihun. 한국음반아카이브연구소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