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재난피해가능성불안 및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Potential Disaster Damage and Perceptible Stress Influencing Evacuation Behavior

지영일, 문유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in Gyonggi-do and evacuation behavior that influences evacuation behavior.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i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and perceived stress, and analyzed similarity in correspondence between age and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Results: The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of a group vulnerable to safety and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of disaster system collapse were perceived in close proximity. Disaster system collapse, evacuation life, and natural disasters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stress. Stress and natural disasters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factors on evacuation behavior. Conclusion: The necessity of managing stress was confirmed since anxiety about natural disaster damage potential and stress affect evacuation behavior. The recent experiences of heavy rain disasters indicate that the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is expected to increase.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planning and psychological management to manage the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재난피해가능성불안 및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피행동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연령, 지역별 재난피해가능성불안 간의 대응일치 유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안전취약계층피해 가능성불안과 재난시스템 붕괴피해가능성불안이 밀접한 위치에서 지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에 재난시스템붕괴, 피난생활, 자연재해 등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대피행동 에 스트레스와 자연재해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자연재해피해가능성불안과 스 트레스가 대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스트레스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최근 들어 강우량을 통 한 재해에서 경험하였듯이 재해의 피해가능성불안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 는 예방차원의 계획과 심리적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연구배경 및 목적
본론
재난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지각된 스트레스
연구방법
분석방법
조사대상
연구결과
인구학적 특성과 재난피해가능성불안의 대응일치분석
지역별 재난피해가능성불안에 대한 대응일치분석
재난피해가능성불안이 지각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결과
재난피해가능성불안 및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결과
결론 및 고찰
References

저자정보

  • 지영일 Youngil JI.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Republic of Korea
  • 문유미 YooMi Moon. Visiting professor, Department of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