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DSM 제작에 있어 토지피복과 식생의 영향

원문정보

Influence of Land Cover and Vegetation on DSM Generation

박충선, 이광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ried to quantitatively reveal influence of land cover and vegetation on DSM generation with statistical analysis. The forest played the most significant role in increase of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DSM and DEM and the broadleaf tree forest exerted more influences on the difference than the needle leaf tree forest and mixed stand forest did, although there were slight variations depending on the tree type. This study suggests that low statistical relevance can be attributed to shooting problem and distortion of aerial photo, and problem associated with change in shape or location during shooting as well as shadow region. Despite of various causes to decrease statistical relevance, it can be suggested that results in this study directly reflect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anopy by vegetation. With more data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characteristics of DSM and DEM can help to extract information such as forest attribute and tree type distribu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DSM 제작에 있어, 토지피복과 식생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살펴보았다. 산림지역이 DSM과 DEM 사이의 고도 차이를 증가시키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였으며, 수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침엽수림과 혼효림보다 는 활엽수림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진의 촬영 문제, 왜곡, 촬영 당시 형태나 위치가 변하는 문제와 그늘 지역이 통계적인 관련을 낮춘 주요 원인으로 생각된다. 통계적인 관련을 낮춘 여러 원인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식생에 따른 임관의 형태적 특성을 직접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와 같은 자료가 보다 쌓인다면, DSM과 DEM의 특성을 통해 산림 속성과 수종 분포와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지역 개관
IV. 분석 결과
V. 토론
VI.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충선 Chung-Sun Park.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시간강사
  • 이광률 Gwang-Ryul Lee. 경북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