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관광기반형 장소마케팅의 정부 간 파트너십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인바운드 관광정책을 사례로

원문정보

A Study on Partnership between Governments in Tourism-based Place Marketing : Focused on Inbound Tourism Policy in Japan

전소라, 정봉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ourism-based place marketing, and to present the policy roles of each of the local government and central-local government partnerships. First, tourism-based place marketing was defined as a process where a specific place creates place value through strategies that utilize their characteristics to attract tourists. The goal is to realize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region. In the analysis of tourism-based place marketing as an example of Japan's tourism policy, five strategies were secured as follows: ① unique regional content and regional-finished tourist pattern are needed to improve regional competitiveness, ② the goal of tourism policy for regional activation needs to turn to sustainable and qualitative growth, ③ public role organizations and private resources are needed to carry out regional projects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strategies of local government so far), ④ the government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tourism industry and respond systematically for inbound tourists, ⑤ improving regional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facilities and services of traffic and information(strategies of partnership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o far).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경험과 대응을 통해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고, 관광기반 장소마케팅이 지역개발에서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도록 우리의 정책적 방안을 점검하는데 있다. 일본의 사례는, 지역 활성화를 목표로 관광기반 장소마케팅을 추진할 때 어떠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시사한다. 인구감소와 제조업의 침체, 이로 인한 지방소멸에 직면한 일본은 ‘방일(인바운드 유치)’과 ‘지방(지역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둔 인바운드 관광정책을 전개해 왔다. 관광은 명확한 성과를 내고 있는 분야로, 여기에는 관광진흥에 대한 정부당국의 적극적인 육성의지, 교통인프라 혁신정책을 통한 지역 접근성 확대, 국제수준의 관광수용환경 조성 및 유인적 인센티브 제공, 지역성에 기반한 차별적인 콘텐츠 개발,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지역개발 지원, 주민주도 추진체계의 구축 및 DMO(관광지경영조직) 육성과 민간재원의 활용 등이 주효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지역개발의 맥락에서, 관광은 하나의 정책적 수단이며, 관광정책의 영향이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차원의 총체적 발전을 견지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의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관광기반 장소마케팅을 추진하는데 있어 다음 6가지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관광진흥에 대한 중요성의 재인식, 관광행정의 통합·체계화로 지역별 상황에 부합한 종합적인 지원이다. 둘째, 교통과 정보 2가지 측면에서 지역 접근성의 개선이다. 셋째, 인바운드 확대를 위한 수요 다각화 및 신규시장의 개척, 문화수용력의 강화이다. 넷째, 차별적인 지역 콘텐츠의 개발과 지역완결형 관광패턴의 구축을 통한 지역 경쟁력의 제고이다. 여기에는 외부변수에 대한 지역중심적 전략을 포함한다. 다섯째, 지속가능성, 질적성장을 추구하는 관광정책의 목표설정이다. 여섯째, 지역사업의 지속적·체계적 추진을 위한 공적역할기구의 도입, 민간재원의 활용으로 압축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검토 및 분석틀 설정
2.1. 관광기반형 장소마케팅
2.2. 장소마케팅의 중앙-지방정부 파트너십
2.3. 분석틀 설정
3. 사례분석과 시사점 도출
3.1. 관광기반형 장소마케팅의 시간적 범위
3.2. 일본 관광기반형 장소마케팅의 전략분석
3.3. 사례분석의 시사점
4. 국내 관광기반형 장소마케팅의 전략적 방안
4.1. 지방정부 차원
4.2. 중앙지방정부파트너십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소라 Jeon, So-Ra. 전남대학교 지역개발학과 박사수료
  • 정봉현 Jeong, Bong-Hyun.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