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도시의 중심성과 연관성에 기초한 지역의 공간구조 설정방법 및 탐색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충청권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Method and Exploratory Application of Spatial Structure in Bases on Urban Centrality and Relationship : Focusing on Case Applied to Chungcheong Province

임병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analysis method of spatial structure and apply the method to the case area of Chungcheong. In this study, the components of spatial structure were set up in three categories: population, facilities and activities. The total population and the productive population were selected as indicators of population category. The number of employees, the number of hospital beds, the area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the number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chosen as those of facilities category. And the number of transfer and commuters were selected as those of activities category. To establish spatial structure, the centrality index and the relationship index were derived from the selected indicators. The centrality index was derived from the indicators of population and facilities, and the relationship index was derived from those of activities. The final outcome of spatial structure was completed by scheming the index of centrality and relationship into the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methodology, the spatial structure of Chungcheong province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entrality and relationship of Daejeon, Cheongju, Cheonan, and Sejong in Chungcheong province were high and stro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provided as a basis research for various discussions on spatial structures.

한국어

공간구조는 도시나 지역을 연구하는 연구자에게 매우 친근하기도 하지만, 또한 영원한 연구과제와도 같은 용어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학술연구나 도시 및 지역계획 수립과정에서 빈번히 언급되고 있으나, 너무 익숙하여 공간구조의 실체에 대한 부분은 오히려 ‘세심’하게 논의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공간구조의 개념과 설정방법을 제안하고 실제 사례지역에 적용하는 등, ‘공간구조 설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최근 시기적으로 다양한 도시 및 지역계획 수립이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도시 및 지역계획 수립 시 주변지역과의 연관성(상생발전)에 대한 요구 및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는 점에서, ‘계획대상지나 계획권역에 대한 통합적 인식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는 공간구조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구조를 공간구조 구성요소간의 관계(질서)뿐만 아니라 요소들의 입지(분포)에도 의미를 두는 확장된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다. 또한 공간구조 구성요소는 인구, 시설 그리고 활동의 3가지로 선정하였으며, 인구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 총인구, 생산인구, 시설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는 종사자수, 병상수, 판매면적, 고등학생수 등으로 선정하였으며, 활동 요소의 경우 전출입자수와 통근통학자수로 선정하였다. 한편 공간구조를 설정하기 위하여, 중심성 지수와 연관성 지수를 도출하였는데, 중심성지수는 인구와 시설 요소로부터 그리고 연관성 지수는 활동 요소로부터 도출하였다. 도출된 중심성 지수와 연관성 지수를 통합적으로 공간도식화함으로서 최종적인 공간구조를 설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공간구조 설정요소와 지표 등을 기초로 충청권의 공간구조를 설정하였다. 공간구조 도출 결과, 2017년 충청권의 도시적 중심성은 대전시와 청주시 그리고 천안시 등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도시간 연관성 역시 이들 도시와 주변도시간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최근 계획적 개발이 진행 중에 있는 세종시의 경우 아직 도시적 중심성이 낮기는 하지만 주변도시와 강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공간구조 설정방법론
3.1. 공간구조 개념 고찰
3.2. 공간구조 설정 요소 및 분석지표
3.3. 공간구조 설정방법
4. 실증사례: 충청권 공간구조 설정
4.1. 중심성 지수 산출
4.2. 연관성 지수 산출
4.3. 공간구조 설정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병호 Lim, Byung-Ho.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