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anaerobic power among youth cycling national team players. The participants were 33 cyclists who were selected as youth national team in 2019 consisting of short-distance(9 men, 6 women) and mid-range(12 men, 6 women) players. height, weight, body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lean body mass, skeletal muscle ratio, isokinetic muscle function (60°/sec, 180°/sec), and anaerobic power (Wingate test) were measured. As for the method of analyzing the measured data, a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eight, weight, lean body mass, and skeletal muscle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and female athletes at short and medium distances(p < .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strength and flexion strength(p < .05), and the average power of the lower extremity(p < .05). The anoxic maximum power and the average pow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p < .05). Therefore, based on the data of this study, if a training program for each event that can improve the fitness factors related to performance is planned and executed,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hat can help improve the performance of athlete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사이클 청소년대표선수의 신체구성과 등속성 근기능 및 무산소성 파워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를 위해 경기력이 우수한 2019년 청소년대표선수 중 단거리 15명(남9명, 여6명) 및 중장거리 18명(남12명, 여6명) 총 33명의 선수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신체구성(신장,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제지방량, 골격근비율), 등속성 근 기능(60°/sec, 180°/sec), 무산소성 파워(윈게이트검사)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 분석방법은 독립 t-test와 일원 변량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신장, 체중, 제지방량, 골격근 비율은 단거 리와 중장거리에서 남자 선수들이 여자 선수들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 < .05), 하지의 최대 근력(peak torque)은 우측과 좌측의 최대 신근력과 굴근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5), 하지의 평균 파워(average power)는 우측과 좌측 신근과 굴근에서 역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5). 또한, 무산소성 최대파워와 평균파워는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따라서 본 연구의 자료를 토대로 경기력과 관련된 체력요인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종목별 훈련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수행한다면, 향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항목 및 방법
3. 자료처리 방법
Ⅲ. 연구결과
1. 신체구성분석
2. 등속성 근기능비교
3. 무산소성 파워 비교
Ⅳ. 논의
1. 신체구성 분석
2. 등속성 근기능비교
3. 무산소성파워비교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