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운동학습에서 피그말리온 효과와 스티그마 효과의 적용과 검증

원문정보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Pygmalion Effect and Stigma Effect in Motor Learning

신정택, 이한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s of pygmalion and stigma in golf putting learning. Elementary 40 students were involved for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not given any information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10 to pygmalion group, 10 to stigma group, 10 to mixed group, and 10 to control group. The task of this study was a three meter golf putting task,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total error score (E). One-way ANOVA was performed for the pre-test. The data analysis of the acquisition phase was carried out under 4 (group) × 6 (block) mixed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In the retention phase,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pygmalion group, which was in the acquisition phase, display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other group. Second, in the immediate retention test, the pygmalion and mixed group displayed better learning than the control group and stigma group. Third, in the delayed retention test, the pygmalion group showed better learning than the mixed group, stigma group and control groups. Fourth, the stigma group showed similar effects to the control group in the retention phase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both theories by applying the pygmalion effect and the stigma effect to motor learning.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피그말리온 효과와 스티그마 효과를 골프 퍼팅학습 상황에 적용시켜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 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40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 들에게는 연구의 목적과 관련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으며 피그말리온, 스티그마, 혼합, 통제 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배정되었다. 본 연구의 과제는 3m 골프퍼팅과제가 사용되었고 종속변인은 전체오차 점수(E)였다. 사전검사는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습득단계의 자료 분석은 마지 막 요인을 반복 측정하는 4(집단)×6(분단)혼합 설계 하에 이루어졌고 파지단계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피그말리온집단은 습득단계에서 가장 우수한 수행을 나타냈다. 둘째, 즉각적 파지검사에서 피그말리온 집단과 혼합집단은 스티그마 집단과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수행을 나타냈다. 셋째, 지연된 파지 검사에서 피그말리온 집단은 혼합집단, 스티그마집단 그리고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티그마 그룹 은 파지단계에서 통제집단과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피그말리온 효과와 스티그마 효과를 운동학습 에 적용하여 두 이론의 효과를 확인 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과제 및 도구
3. 실험절차
4. 자료분석
Ⅲ. 결과
1. 사전검사
2. 습득단계
3. 파지단계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정택 Shin, Jung-Taek. 동의대학교, 교수
  • 이한우 Lee, Han-Woo. 동의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