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피트니스 센터 고객의 경험가치와 브랜드 애착, 지속의사 및 프리미엄 지불의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Value and Brand Attachment, Continuity Intention, and Pay Premiums Intention by Fitness Center Customers

변경원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value of fitness center, brand attachment, continuity intention and pay premium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0 questionnaires who fitness center custome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ver two survey periods in 2020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field survey of 7 fitness cent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n online survey system of the KSDC. For data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in a two-step approach to verify the fit and individual hypothesis of the model. After confirming the test of goodness of fit of a model, individual hypotheses was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experience value and extrinsic experience valu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ttachment. Second, brand attach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ntinuity intention. Third, brand attach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ay premiums intention. Fourth, intrinsic experience value and extrinsic experience value. Fifth, extrinsic experience valu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ay premiums intention, but the intrinsic experience valu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한국어

이 연구는 피트니스센터의 경험가치와 브랜드 애착, 지속의사 및 프리미엄 지불의도와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 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피트니스 센터 고객 3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2차례의 조사기간을 걸쳐 편의 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수도권에 위치한 피트니스 센터 7곳에 대한 현장조사와 KSDC(Korean Social-Science Data Center)의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을 활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2단계 접근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개별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 째, 내재적 경험가치와 외재적 경험가치는 브랜드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브랜드 애착은 지속의사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브랜드 애착은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내재적 경험가치와 외재적 경험가치는 지속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외재적 경험가치는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 지만 내재적 경험가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변인 간 이론적 관계와 연구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성 분석
Ⅲ. 결과
1. 구조모형의 적합도
2. 가설검증 결과
Ⅳ. 논의
1. 경험가치와 브랜드 애착과의 관계
2. 브랜드 애착과 지속의사 및 프리미엄 지불의도와의 관계
3. 경험가치와 지속의사 및 프리미엄 지불의도와의 관계
Ⅴ. 결론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변경원 Byun, Kyung-Won. 단국대학교,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강경완(2019). 항공사 서비스품질이 내재적 가치, 외재적가치, 만족, 몰입,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 2권혁종(2019). 호텔 또는 리조트 이용고객의 회복적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의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 회복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3김고현(2020). 브랜드의 기능적, 경험적, 상징적 편익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 4김기병, 서원석(2019). 확장된 체험요인(accommodation experience escape)이 게스트하우스에 대한 기억, 장소애착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S-O-R 이론중심으로. 관광연구, 34(1), 117-136.
  • 5김동준, 정연국(2015). 이탈리안 레스토랑의 물리적환경, 브랜드태도, 브랜드애착, 브랜드충성도 간의 구조관계 연구. 관광연구, 30(5), 423-443.
  • 6김민경(2019). 외식기업의 키오스크(Kiosk) 품질 특성이경험가치,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33(9), 71-86.
  • 7김민희(2010). 스포츠 센터 브랜드 개성,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간 인과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8김성수(2018). 복합쇼핑몰 내 외식업체 이용고객의 경험가치가 소비자 행복, 점포애착, 점포충성도에 미치는영향. 한국조리학회지, 24(5), 67-77.
  • 9김성진, 허진영(2019). 피트니스센터 지도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8(2), 721-733.
  • 10김영민(2018). 여행소비자의 경험적 가치가 긍정적 감정, 관광지 애착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산업대학원.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