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언어생활 개선을 위한 청소년 연극 고찰 : ‘2019 청소년 연극제’의 희곡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Youth Play for the Improvement of Language Life : Focusing on the Drama Scripts of the ‘2019 Youth Play Festival’

장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youth plays to improve the language life of young people. To this end, 12 drama scripts that participated in the ‘2019 Youth Play Festival’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y found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a person, an event, a background, a line. First, among the characters featured in the drama scripts of the ‘2019 Youth Play Festival’, there are many adults. While it focuses most on the language life of teenagers who use swear words, newly coined words and abbreviations, there is a drama scripts that points out the language life of adults that has influenced the language life of teenagers. The message that teenagers’ language lives should be improved, and adults’ language lives should be changed also influenced the composition of the characters. Second, the events that appear in the drama scripts center the everyday language lives of teenagers, but also contrast with the language activities of adults through dramatic devices such as time travel, dreams and transformation. The drama scripts of the festival were positively stimulated by the adults who tried to protect our language, and made the rough language life of the adults as teachers on the other hand. Third, if you look at the background of the drama scripts, first of all, the time setting is the most present, and the past and future appear in some of the works. In other words, there are the most negative current images using Korean, the past images that contradict the present, and the theme of the drama scripts is expressed through negative future images. Next, the spatial background is many schools and houses, and other special spaces are used. In other words, it showed the youth in daily life having a negative language life, and effectively expressed the situation in question by assuming a special space. Fourth, the lines of characters appearing in this playbook have a lot of swear words, newly coined words and abbreviations in common. Of course, it is less expressed in real life than in real life, and students who have a proper language life appear to contrast them. Among adults, grandmothers, fathers and teachers who have problems with language life also appeared to address the use of newly coined words, dialects and abusive language of the adult generation. The results of the drama scripts analysis shown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terms of play text when studying the correct language life in secondary language textbooks, and will help in using drama scripts reading or theater making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s. And it will also be a reference for those who want to create drama scripts for teenager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언어생활을 개선하기 위해 청소년 희곡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 청소년 연극제'에 참여한 청소년 희곡 12편을 분석했다. 그 결과, 그들은 인물, 사건, 배경, 대사에 나타나는 몇 가지 특성을 발견했다. 첫째, '2019 청소년 연극제'의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은 욕설, 신조어, 약어를 사용하는 10대들의 언어생활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지만, 청소년들의 언어생활에 영향을 준 어 른들의 언어생활도 함께 짚고 있다. 둘째, 드라마 대본에 등장하는 사건은 청소년들의 일상 언어생활을 중심으로 하지만 시간여행, 꿈, 변신 등 극적인 장치를 통한 어른들의 언어활동과도 대비된다. 셋째, 드 라마 대본의 배경을 살펴보면 현재 라는 시간이 가장 많으며, 일부 작품에서는 과거와 미래가 등장한다. 다음으로 공간적 배경으로 자주 등장하는 장소는 학교와 집이 대부분이며, 그 밖에 특별한 공간들은 조 금 사용된다. 즉 일상생활에서 젊은이들이 부정적인 언어생활을 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었고, 특별한 공 간을 가정하여 문제의 상황을 효과적으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넷째, 이 희곡집에 등장하는 등장인물들 의 대사는 욕설, 신조어, 약어 등 공통점이 많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청소년 희곡 분석 결과는 중등국어 교과서에서 올바른 언어생활을 공부할 때 놀이 텍스트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교육적인 방법 측면 에서 드라마 대본 읽기나 연극 제작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10대들을 위한 드라마 대본 을 만들고 싶어 하는 사람에게도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 희곡의 개념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Ⅲ. ‘2019 청소년 연극제’ 희곡의 구성 요소 분석
1. 부정적인 언어 습관이 있는 등장인물
2. 우리말 사용의 문제를 보여주는 사건
3. 부정적인 언어생활이 핍진한 배경
4. 언어생활의 문제가 나타난 대사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혜영 Jang, Hye Young. 숭의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