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연극 실행 ‘공간’으로서의 초등학교 교실 고찰 : ‘메탁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Elementary Classroom as 'Space' for Conducting Educational Drama : Focusing on ‘Metaxis’

배주연, 김병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as a ‘space’ for conducting educational drama and discuss its possibilitie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classroom measure up as a space for educational drama and what strategies and alternatives teachers and drama practitioners can apply in doing so.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analysis by notable drama practitioners on space, the study noted ‘metaxis’ as a core elements in conducting educational drama. Focusing on the concept of metaxis, the study defined the most essential and idealistic space for educational drama as ‘metaxis space’; and categorizes its four major characteristics as ‘aesthetic’, ‘changeable’, ‘social’ and ‘creative’.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classroom hardly fulfills or functions except for ‘social’ one. To supplement such limitations, the study proposes complementary strategies and approaches drawn from the analysis of 131 Master’s thesis from academic institutions in Korea from 2015 to 2020. The suggestions are: for the ‘aesthetic space’, active application of theatrical technoligies and skills; for the ‘changeable space’, expanding students’ initiatives on space; and for ‘creative space’, exploring a variety of spaces in and out of the school. It is our hope that the study will enhance and expand the interest of space as a new research topic of Drama Education field, which has been skewed in program development and analysis, and contribute to perception change for the public.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이라는 공간을 교육연극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연극 드라마를 실행하는 ‘공간’으로서 교실은 얼마나 부합하는지 분석하고,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있어 교사 및 예술 강사가 활용할 수 있는 교실 공간 구상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공간적 관점에 대한 교육연극의 여러 전문가 및 문헌 분석을 통해 교육연극의 가장 핵심적 가치는 ‘메탁시스(metaxis)를 가능하게 하는 체험’이라는 데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육연극 공간을 ‘메탁시스 공간’으로 정의하고 그 특성을 '미적 공간', ‘가변적 공간’, ‘사회적 공간’, ‘창조적 공간’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 네 가지 특성을 기준으로 초등학교 교실을 분석한 결과, 교실은 ‘사회적 공간’을 제외하고 는 ‘미적’, ‘가변적’, ‘창조적’ 공간의 특성을 충분히 충족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 교 교실의 ‘미적’, ‘가변적’, ‘창조적’ 공간 특성을 보완하여 교육연극 공간으로서의 본질을 최대한 담아낼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의 제시를 위해 총 131편의 국내 학위논문 분석을 바탕으로 보완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적 공간’의 보완을 위해 ‘연극적/예술적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가변적 공간’ 보완을 위해 ‘학생들의 공간 주도성 강화’를, 그리고 ‘창조적 공간’ 보완을 위해 ‘학교 안팎의 다양하고 새로운 공간 활 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그간 프로그램 개발 및 분석에 편중됐던 우리 교육연극 분야 연구의 확 장 및 공간에 대한 관심 증대, 그리고 공간의 변화와 개선을 위한 인식 제고에 기여하길 바라는 바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1. 왜 ‘공간’인가?
2. 연구 문제 및 방법
Ⅱ. 교육연극 전문가들이 보는 ‘공간’
Ⅲ. ‘메탁시스(Metaxis)’를 위한 교육연극 공간
1. ‘메탁시스(Metaxis)’의 개념
2. 메탁시스 공간의 특성
Ⅳ. ‘메탁시스 공간’으로서의 교실 고찰
1. 미적 공간으로서의 교실
2. 가변적 공간으로서의 교실
3.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교실
4. 창조적 공간으로서의 교실
Ⅴ. 메탁시스 공간으로서의 교실 재구성 방안
1. ‘미적 공간’ 보완: 예술적/연극적 기술의 활용
2. ‘가변적 공간’ 보완 - 학생주도적 공간 구성
3. 창조적 공간 보완 - 새로운 공간의 모색
Ⅵ.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주연 Bae, Joo Yeon. 서울영중초등학교
  • 김병주 Kim, Byoung Joo. 서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