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 대한 단축형 감각 프로파일-2(Short Sensory Profile-2)의 구성타당도 연구

원문정보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hort Sensory Profile-2 (SSP-2)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박아름, 유두한, 홍덕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Short Sensory Profile-2 (SSP-2)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SSP-2 for 120 parents of ASD children. Raw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Rasch analysis to the goodness fit of person and item, item difficulty, rating scale, and separation reliability of SSP-2. Results : 7 persons in sensory processing area and 8 persons in behavioral response area were inappropriate criteria and excluded from the analysis. Item goodness-of-fit analysis determined that the If the Mnsq value is between 0.6 and 1.4 and the Z value is outside the ±2 range for nonconformity. this study All items in the instrument were found to have appropriate criteria. Item difficulty analysis in sensory processing area was high in item 13 (.48 logit) and low in item 10 (-.54 logit). In the behavioral response area, item 25 (1.58 logit) was high and item 30 (-.68 logit) was low. In the rating scal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3-point scale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5-point scale. The separation reliability of sensory processing area was .90 and the behavioral response area was .95. Conclusion : This study verified the construct validity of SSP-2 and expected to be applied as a useful evaluation tool for children with ASD.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단축형 감각프로파일-2(Short Sensory Profile-2; SSP-2)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120명을 대상으로 SSP-2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원 자료는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SSP-2의 대상자 및 항목 적합도, 난이도, 평정척도, 분리신뢰도 분석을 실 시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 중 감각처리 영역은 7명, 행동반응 영역은 8명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 분석에서 제외하 였다. 항목 적합도 분석에서는 모든 항목이 적합한 기준을 충족하였다. 감각처리 영역에서의 난이도 분석 은 13번 항목(.48 logit)이 높았으며, 10번 항목(-.54 logit)이 낮았다. 행동반응 영역에서는 25번 항목 (1.58 logit)이 높았으며, 30번 항목(-.68 logit)이 낮게 분석되었다. 평정척도 분석에서는 5점 척도 보 다 3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신뢰도는 감각처리 영역 .90, 행동반응 영역 .95로 분석되 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SSP-2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임상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게 유용 한 평가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적합도(goodness fit) 분석
2. 항목 난이도 분석
3. 평정척도 적합도 분석
4. 분리신뢰도 분석
Ⅵ. 고찰
Ⅴ.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아름 Bak, Ah-Ream. 전주기전대학 작업치료과 조교수
  • 유두한 Yoo, Doo-Han.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홍덕기 Hong, Deok-Gi. 원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건강증진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