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Characteristics and Event Centrality on the Sewol Ferry Disaster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haring -

원문정보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억특성과 사건 중심성 간 관계 - 사회적 공유의 매개효과 -

Yun Mi Lee, Chol Ok Par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ocial sharing functions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characteristics and event centrality on the Sewol Ferry incident.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of 560 adults aged 20 years and over, and measured their memory characteristics on the Sewol Ferry incident, social sharing, and event centering. A total of 447 responses were analyzed as the final sample. A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 and bootstrapping was also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n model. It was found that, in the model where event centrality w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lationship between vividness and event central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social sharing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nsity and event centrality was entirely mediated by social sharing. On the other hand, social shar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event centrality.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effects of social sharing on the recovery from trauma due to the Sewol Ferry incident in the Korean society.

한국어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억특성과 사건 중심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공유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56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고,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억특성과 사회적 공유, 사건 중심성을 측정하고 그중 447 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 모형 분석을 하였고,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종속변인이 사건 중심성인 모델의 경우 사회적 공유가 생생함과 사건 중심성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강도와 사건 중심성 간의 관계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공유 는 부정 정서가와 사건 중심성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세월호 참사로 인한 우리사회 공동체의 회복에 사회적 공유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주요 변인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2. 측정도구
3.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 결과
2.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3. 측정모형 검증
4. 연구모형 검증
5. 매개효과 검증
Ⅳ. 논의
1. 외상경험 개방에 대한 사회적 반응 척도(Social Reactions Questionnaire; SRQ) 연구
2. 2차 외상을 줄이는 사회적 공유 방식의 가공 및 보급
3. 사회적 위기 사건 이후 심리적 응급처치 방법을 국민에게 전달 및 교육
4. 심리적 응급처지 보급 관련 컨트롤 타워 마련의 필요성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Appendix

저자정보

  • Yun Mi Lee Korea Trauma Research and Education Center
  • Chol Ok Park Department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