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표준화환자 활용 정신간호학 융합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만족도가 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on Motivation to Transfer in the Practicum of Psychiatric Nursing Convergence Simul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learning

오현주, 김미자, 박경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lear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motivation to transfer of nursing students who received the psychiatric nursing convergence simulation practicum using standardized patients. Participants were 144 third grade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following the Baron and Kenny’s method and Sobel test for mediat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learning(r=.686, p <.001), learning satisfaction and motivation to transfer(r=.633, p <.001) and self-efficacy in learning and motivation to transfer(r=.804, p <.001). Self-efficacy in learning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motivation to transfer(Z=7.63, p <.001). To increase the motivation to transfer, strategies to enhance the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are required.

한국어

본 연구는 임상실무에 접하기 전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융합 시뮬레이션 실습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습 만족도와 전이동기와의 관계에서 학습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144 명의 3학년 간호학생이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을 하였고, Baron & Kenny 의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만족도와 학습자기효능감(r=.686, p <.001), 학습만족도와 전이 동기(r=.633, p <.001), 학습자기효능감과 전이동기(r=.804, p <.001)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습자기효능감은 학 습만족도와 전이동기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Z=7.63, p <.001). 교육에서 습득한 지식 과 기술을 실무에 적용하고자 하는 전이동기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학습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SP활용 정신간호학 융합시뮬레이션실습
2.5 자료수집방법
2.6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 학습자기효능감, 전이동기의 차이
3.2 학습만족도, 학습자기효능감, 전이동기의 정도
3.3 학습만족도, 학습자기효능감, 전이동기의 상관관계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오현주 Hyun-Joo Oh.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김미자 Mi-Ja Kim.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박경미 Kyung-Mi Park.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