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the Research Tendence of 『Die Verwandlung』 by Franz Kafka in Korea Ⅱ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key-words of the researches from the year 2010 to 2019 on 『Die Verwandlung』 by Franz Kafka in Korea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It aims to find indexes and their relations as well as to investigate essentials of those key-words. To form co-occurrence relation between key-words, there use the co-occurrence count. The constructed networks are multiple-type networks rather than single-type on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mputer-based Programs such as Krkwic, UCINET and NetDraw are applied and used for this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main result of the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shows that each component such as
한국어
본 논문은 2010년~2019년 사이 국내에서 수행된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에 대한 연구물들을 의미연결망 분석법을 활용하여 그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기간 동안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학술지에 게재된 『변신』 작품 관련 논문을 RISS(국가학술연구정보공유시스템)와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검색하여 연도별 논문 게재 수의 증감 상황을 파악하였다. 이 논문에서 다루는 주요 분석대상은 이 시기에 발간된 논문에서 제시하는 주제어들(핵심어)이다. 이 주제어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의미연결 관계를 Krkwic, UCINET, NetDraw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에서, 이 기간에 게재된 논문들과 관련한 주제어들을 선정, 정제한 후, 한편으로, 이들 간에 형성된 의미연결망을 시각적으로 구성하고, 다른 한편으로, 위세중심성,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수치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이 시기 카프카 『변신』에 관한 연구 동향은, 의미연결망과 중심성 수치 분석에서 주제어 ‘가족’ - ‘노동’- ‘소외’ - ‘인간’ - ‘유용(성)’ - ‘문화’의 연결이 두드러진 모습이었다. 이 논문은 2010년~2019년 사이 국내 카프카 『변신』 연구동향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세 개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 소소한 의미를 지닌다.
목차
Ⅰ. 이끄는 말
Ⅱ. 국내 프란츠 카프카 『변신』 연구동향 분석설계
1. 선행연구 및 연구경향
2. 분석대상 및 분석기준 설정
Ⅲ. 분석결과
1. 빈도수 분석
2. 의미연결망 및 중심성 수치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 1성열관(2010).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국제교육의 관점과 개념 분석: 영국 국가교육과정 지침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37, 23-42.
- 2이경택(2020a). 2015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의 타당성 및 적합성 연구 독일어Ⅰ을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9(3). 215-237
- 3이경택(2020b). 국내 독일 지역학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독일어문학 88, 121-140.
- 4이경택 · 임춘택(2020).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독일어 교육과정 <목표>진술 분석독일어1을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87, 27-63.
- 5이동민(2016). 2015 개정 고등학교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의미구조분석. 한국지리학회지, 5(1), 1-11.
- 6이충섭(1991). 한국의 카프카 수용(2): 1955∼1989 1차문헌 번역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 7, 177-209.
- 7전재현 외(2018).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법에 의한 국내 STEAM 교육연구물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3), 65-84.
- 8정덕호 · 이준기 · 김선은 · 박경진 (2013).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교육과정 목표와 교과서학습 목표와의 일치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711-726.
- 9Park, H. W./Leydesdorff, L.(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 10http://www.hanpark.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