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데이트폭력 예방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데이트폭력인식, 성역할태도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Date Violence on Date Violence Awareness, Gender Role Attitude and Ego-Identity in Adolescents

김유진, 김하나, 김미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adolescents' sense of dating violence, gender role attitudes, and Ego-Identity. To verify effectivenes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o attend after-school classes at the Youth Culture House in Busan and organized into a group of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10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60 minutes each aimed at preventing dating violence.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e-post-examination of the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gender role attitudes, and identity was conducte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for pre-identification of homogeneity among experimental-control groups using SPS/WIN 21.0, covariance analysis (ANCOVA) was performed to verify program effectiveness by each variant,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was tested for the effectiveness of each varian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quantitative research by statistical analysis, the group members' opinions on each session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experience report on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the study targe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and Ego-Ident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t was effective in positively changing the gender role attitud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트폭력 예방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데이트 폭력의식, 성역할태도,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부산시에 위치한 청소년문화의집 방과후 교실에 다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참여자를 모집하여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데이트폭력 예방을 목적으로 한 프로그램을 60분씩 10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분석을 위해 데이트폭력 인식, 성역할태도 및 자아 정체성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WIN 21.0을 사용하여 실험-통제집단 간의 사전 동질성 검사를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고, 변인별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에 의한 정량적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각 회기에 대한 집단원의 소감문을 분석하여, 해당 프로그램이 연구대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보고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데이트폭력인식과 자아정체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성역할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Ⅲ. 연구절차
1. 양적 분석
2. 프로그램 경험보고서 분석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유진 Kim, You-Jin.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 김하나 Kim, Ha-Na. 경성대학교 교육학과 박사수료
  • 김미옥 Kim, Mi-Ok. 경성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