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onghak’s Gaebyeok Thought from a utopian perspective. While active discussions have been conducted on Donghak’s Gaebyeok Thought, discussions through critical review on utopia have not been sufficient. This article attemp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nghak Gaebyeok Thought through T. More’s utopia ideology and critical discussions on it.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entering on T. More’s theory of utopia, the background, contents and role of utopia were introdu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hak and utopia was presented. Secon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Donghak’s Gaebyeok Thought and the appearance of the ideal society were presented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Donghak scriptures and researchers. Third, we discussed what conditions are necessary for utopia to be real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topia emerged to overcome the exploitation of nobility and the collapse of values, and is related to Donghak in that it criticizes reality and predicts ideal society. Second, it was discussed that Donghak’s Gaebyeok Thought is based on a the inevitable laws of the universe, and that heaven on earth is aiming for construction through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of a man of virtue. Third, in order to realize utopia,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and follow criticism and action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의 개벽사상을 유토피아적 관점에서 이해하는데 있다. 그동안 동학의 개벽사상에 관하여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으나 유토피아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한 논의는 충분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동학 개벽사상의 특성을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사상과 그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통해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 이론을 중심으로 유토피아의 발생 배경과 내용 그리고 그 역할을 소개하였고 동학과 유토피아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동학 경전과 연구자들의 논의를 통해서 동학의 개벽사상의 내용과 특징 그리고 이상사회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셋째, 유토피아가 실현되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이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토피아는 귀족의 착취와 가치관의 붕괴를 극복하기 위하여 출현하였으며, 현실을 비판하고 이상사회를 예견한다는 점에서 동학과 연관이 있다. 둘째, 동학의 개벽사상은 우주의 필연적 법칙에 근거하고 있으며 군자공동체의 실현을 통한 지상천국의 건설을 지향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셋째, 유토피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선악의 이분법을 극복하고 비판과 행동이 따라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II. 동학과 유토피아
III. 동학의 개벽사상과 이상사회
1. 동학의 시운적 역사관
2. 동학의 이상사회
IV. 부정적 유토피아와 긍정적 유토피아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